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소아 천식 환아에서 혈청 ECP 와 비점막 세척액 ECP 의 연령에 따른 비교

        강임주(Im Ju Kang),김령희(Lyoung Hee Kim),김애숙(Ae Suk Kim),김승태(Seung Tae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1

        목 적 . 천식은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염증 세포들의 기관지내 침윤 및 기관지 과민반웅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기관지 과민반응은 활성화된 호산구에서 유리된 MBP, ECP 등의 독성 과립단백에 의한 기도 상피세포의 손상에 의한다. 최근 알레르기 반응시 비점막 조직 소견이 하기도의 염증 반웅과 유사하다는 여러 학자들의 보고가 있다^1, 2). 이에 저자들은 천식 환아의 혈청 및 비점막 세척액에서 ECP를 측정하여 연령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고 소아기 전 연령에서 호산구 역할을 알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6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급성 천식 발작으로 본원 소아 병실에 입원한 생후 6개월에서 14세 사이의 환아 62명을 대상으로 2세 미만은 A군, 2-4세는 B군, 5-14세는 C군으로 구분하였고 천식의 과거력이나 호흡기 중상이 없는 입원 환아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 군에서 혈청 ECP와 비점막 세척액 ECP를 측정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각 연령군에서 혈청 ECP, 호산구수, 혈청 총 IgE, 입원 당시 폐기능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혈청 ECP는 A군 16.5±7.1 ㎍/l, B군 28.9±18.7㎍/1, C군 45.9±34.8㎍/1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측정되었고 각 연령군에서 공히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2) 비점막 세척액 ECP 역시 A군 11.3±7.1 ㎍/1, B군 21.3±15.2㎍/1, C군 30.2±18.2㎍/1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측정되었고 각 연령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3) 혈청 ECP와 비점막 세척액 ECP 및 혈중 호산구수는 A군을 제외한 B, C 연령군에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혈청 ECP와 혈청 총 IgE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천식 급성 발작시 혈청 ECf와 비점막 세척액 ECP는 소아의 전 연령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 영아기를 포함한 소아기 전 연령에서 흐산추에 의한 기도염증이 천식 발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sthma features not only infiltration of various inflammatory cells including eosinophils into bronchus but increase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which comes from bronchial epithelial cells damaged by toxic granular protein like MBP and ECP released from the activated eosinophils. Recently,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that nasal mucosa histologic findings are similar to an inflammatory change of lower airway in respiratory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latter, we performed this study to compare serum ECP with nasal wash fluid ECP by their ages and to find out contribution of eosinophils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wheezing. Methods : The 62 patients in age from 6 months to 14 years who were admitted due to acute asthma from June 1995 to May 1996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ir ages as follows : group A for less than 2 years old, group B for 2-4 years old and group C for 5-14 years old. The 32 children with no previous history of wheezing or no respiratory symptoms on admission were enrolled as control subject. Serum ECP & nasal wash fluid ECP from each age group with asthma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ECP and atopic findings were studied. Results : 1) The geometric mean level of serum EC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heezing children than in control in all three age group as follows : 16.5±7.1 ㎍/l for group A, 28.9 18.7 ㎍/l for group B, 45.9±34.8 ㎍/1 for group C. 2) The geometric mean level of nasal wash fluid EC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heezing children than in control in all age group as follows: 11.3±7.1 ㎍/1 for group A, 21.3±15.2㎍/1 for group B, and 30.2 18.2㎍/l for group C. 3) Serum ECP had correlation with nasal wash fluid ECP & blood eosinophils in group B and C, except group A. Conclusion : On acute asthma attack, the mean ECP level of serum & nasal wash fluid from all children including infa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and this suggests that the role of eosinophils to airway inflammation in many wheezing infants may be the same as that in older children with asth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