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원장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Kim Dong R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집합교육과 직무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집원장을 임의표집하여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원장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장의 결혼유무, 연령, 경력, 학력, 어린이집유형, 근무시간, 급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과 소진 및 삶의 질의 정도는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상태 평균 3.39, 소진은 2.65, 삶의 질은 3.28로 나타나 보통정도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은 삶의 질에 2.3%의 영향력을, 소진은 삶의 질에 12.0%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과 소진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원장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소진을 예방·완화하여 어린이집원장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and burnou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rbitrarily sampled 266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worked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and J province and participated in the collective education and job educ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childcare center, working hours, and salary. Second, in relation to the healthcare, burnout, and quality of life,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health status was mean 3.39, burnout 2.65, and quality of life 3.28, showing a normal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statu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had an influence of 2.3%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burnout had an influence of 12.0% on the quality of life, confirming that the health status and burnou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policy strategie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to prevent and alleviate burnou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김동례 ( Dong Rae Kim ),백영숙 ( Young Suk Pai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은 매개 변인인 교수창의성과 종속변인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교수창의성은 어린이집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매개변인인 교수창의성과 종속변인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교수창의성은 어린이집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며, 교수창의성이 결합되었을 때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잘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are 309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Jeoll south province. Analysis of data is conducted with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ar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