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자궁선근증 및 자궁근종에서 CA 125값의 임상적 의의

        사진(SJ Kim),신종철(JC Shin),장흡(JH Kim),김도강(D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2

        CA125 is a tumor-associated antigen recognized by a monoclonal antibody, OC125, which was produced following immunization of mice with an ovarian cancer cell line and a radioimmunoassay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antigen levels in the serum of ovarian cancer patients. Using this assay, we measured serum levels of CA125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ommon uterine tumor(40 of leiomyomata uteri, 25 of adenomyosis and 13 of adenomyosis with leiomyomata uteri) to differentiate pre-operatively between leiomyomata uteri and adenomyo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CA125 level (Mean SD, u/ml) was 16.92 11.15 in normal healthy controls, 14.60 6.70 in patients with leiomyomata uteri, 121.59 92.06 in those with adenomyosis, and 25.26 14.04 for complex groups. 2. Positive rates for CA125, when the reference value was set at 35 /ml, were 6.6% for normal healthy controls, 8% for leiomyomata uteri, 96% for adenomyosis, and 15.4% for complex groups. 3. CA125 level in patients with adenomyosi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normal healthy controls and leiomyomata uteri and complex troups(P<0.01)

      • KCI등재

        다태임신의 2예

        김도강(DK Kim),남궁성은(SE Namkoog),이숙인(SI Lee),이재현(J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5 No.11

        임신 9개월과 10개월에 4양막성 4태와 2양막성 3태로 임신중독증을 동반한 각 1례씩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multiple pregnancy (triplet, quadruplets) is presented at St. Paul`s Hospital. There were evidence of eclampsis and hydramniosis.

      • KCI등재

        모체의 혈중 단백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 측정을 이용한 절박유산의 예후 판정

        기원(KW Kim),함재홍(JH Ham),대훈(DH Kim),김도강(DK Kim),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4

        임신 제5-20주의 정상임신(대조군) 241예와 절박유산(실험군) 82예중 정상임신 진행군 38예 및 유산군 44예의 832 가검물로부터 24시간 뇨중 hCG, 혈중hPL, hPRL, AFP, estradiol-17β, estriol, progesterone, testosterone 및 cortisol을 측정하여 대조군 및 절박 유산 각군의 임신 주수에 따른 변동상황을 관차하고 측정치들의 분포와 절박유산의 예후를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의 뇨중 hCG, 혈중 hPL, AFP, estradiol-17β, estriol, progesterone, testosterone 및 cortisol등 9가지 호르몬 또 는 혈청단백의 임신 각주에 따른 변동을 측정하였던 바 대다수의 다른 관찰자들과 일치 하였다. 2. 일반적으로 이들 9가지 호르몬 또는 혈청단백 측정의 모든 경우에서 절박유산군 중 정상임신 진행군의 임신 각주에 따른 측 정치는 대조군보다는 낮았지만 유의한 차는 없었다. 3. 일반적으로 이들 9가지의 호르몬 또는 혈청단백 측정의 모든 경우에서 절박유산군 중 유산군에서 임신 각주에 따른 측정치는 대조군보다는 현저하게 낮았고 이들중 대조군 및 정상임신 진행군 양자 모두에 비하여 유의한 차를 보인 것은 뇨중 hCG, 혈중 hPL, hPRL 및 estradiol-17β로서 이 4가지 호르몬 측정이 절박유산 예후판정의 가장 좋은 지표이었다. 4. 대조군에서 임신 각주의 평균-표준편차 이상의 측정치를 정상범위로 그 미만의 측정치를 정상범위 미만으로 간주하였을 때 뇨중 hCG, 혈중 hPL, hPRL 및 estradiool-17β의 절박유산 예후판정율은 각각 76.8, 80.9, 86.1 및 83.7%이었다. 5. 이들 4가지 호르몬 측정치중 임의의 2, 3 및 4가지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의 전반적인 정상임신 진행판정율은 각각 92.7, 97.7 및 100.0%이었다. 6. 이들 4가지 호르몬 측정치중 임의의 2, 3 및 4가지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의 전체적인 유산판정율은 각각 95.9, 99.1 및 100.0%이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절박유산의 예후를 생화학적 검사로 측정 감시하기 위하여는 뇨ㅈ hCG, 혈중 hPL, hPRL 및 estradiol-17 β의 변동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을 동시에 관찰함으로써 거의 완전한 결과를 얻을 거승로 기대된다.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of threatened abortion the 24 hour-urinary titer i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serum levels of placeful lactogen, prolactin, alpha-fetopretein, estradiol-17b, total estriol, progesterone, testosteronr and cortisol in 862 urine and serum samples from 241 cases of narmal pregnancy and 82 cases of threatemed abortion were measures weelky from 5th to 20th gestational weeks. Thw group of threatened abortion was again divided into 2 subgroups, that of 38 cases of favorable outcome in which the cases progress to narmal pregnancy up to at least 28th gestational weeks and that of 44 cases poor pregbosis in which the cases terminated in abortion within 28th gestational weeks. Thw changing patterns of all the data of 3 groups according to their gestational week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considering certain data above the value of Mean minus I.S.D. of control group as normal and those below that value as subnormal all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eir own prognosis. Thw result were as follows. 1) In the subgroup of favorable outcome of threatened abortion, the levels of all 9 parameters of urinary hCG, serum hPL, hPRL, AFP, estradiol-17b, total estriol, progesterone, testosterone andcortisol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geneal but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2) In the subgroup of abortion all those of 9 parameters were signifi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but those of only 4 parameters of urinary hCG, serum hPL, hPRL and estradiol-17b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subgroup of favourable putcome in general. 3) The accuracy rates to predic: the prognosis of threatened abortion with each of most rliable 4 hormonal parameters- urinary hCG, serum gPL, hPRL and estradiol-17b - were 76.8, 80.9, 86.1 and 83.7% respectively. 4) The overall accuracy rates to predict favorable outcome with any 2, 3 and all 4 normal rnages among most reliable above 4 hormaonal parameters were 92.7, 97.7 and 100.0% respectively. 5) The overall accuracy rates to predict abortion with any 2, 3, all 4 subnormal ranges among most reliable above 4 hormonal parameters were 93.9, 99.1 and 100.0% respectively. 6) Consider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measurement of 4 parameters of urinary hCG, serum hPL, hPRL and estadiol-17b evaluating at least 3 ones simultaneously can be preferred in evaluating and predicting the prognosis of threatened abortion.

      • KCI등재

        자궁 경부암에 대한 역학적 고찰

        장문기(MK Chang),김도강(DK Kim),송승규(SK Song),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2

        1972년 1월 1일부터 1976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간 카톨릭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치료하였던 자궁 경부암 환자 108예와 암 센터에 가입된 정상 부인 108예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 경부암의 기별 분포는 제Ⅱa기 이하가 전체의 87예(80.6%)였고 제Ⅱb기 이상은 21예(19.4%)를 보여 주었고 연도별로는 전반적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임상기별에 따른 증가는 없었다. 2. 병발 연령은 35-44세군이 57예(52.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기별로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더 진행된 암이 많았다. 3. 결혼연령이 낮아질수록 자궁 경부암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4. 초임연령이 낮을수록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빈도가 높았다. 5.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과부나 이혼한 경우는 14예(13.0%)로 대조군의 5예(4.7%)보다 높아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경우 조기 발견됨을 보여 주었다. 6. 교육 수준과의 관계를 보면 저지식층에서 자궁 경부암 발생 위험도가 고지식층에 비해 높았다. 7. 임신 및 분만횟수에 따른 경부암과의 관계는 큰 의의를 찾아볼 수 없었으나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8. 도시 거주인의 발생빈도가 시골보다 높아 도시 거주인의 경부암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보여 주었다. 9. 폐경연령이 높아질수록 경부암에 발생빈도가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10. 기별로 보면 자궁 경부암이 더 진행할수록 질세포진의 class도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11. 임상증상은 무증상이 전체의 52예(48.1%)였고 대하가 36예(33.3%) 접촉시 성기출혈이 34예(31.5%)의 순서로 나타났고 기별로는 제Ⅰb기 이하에서는 무증상이 제Ⅱa기 이상에서는 접촉시 성기출혈이 많은 분포를 보여 증상이 나타날수록 진행된 암이 많았음을 보여 주었다. 12. 자궁 경부소견과 경부암과의 관계는 미란이 전체의 72예(66.7%)였고 기별로 보면 모든 기에서 미란이 가장 많았으며 괴양, 내번, 결정성, 괴사 등은 초기보다 진행된 암의 경우 많은 분포를 보여 주었다. 13. 진단방법은 질세포진 검사를 108예(100.0%) 전예에서 시행하였고 생검은 87예(80.6%) 질 확대경 검진은 60예(55.5%)에서 시행하였다. 14. 치료방법을 기별로 보면 제0기에서는 자궁 전적출술 및 자궁부속기 절제술을 대부분 시행하였으며 제Ⅰa기 Ⅰb기 그리고 제Ⅱa기에서는 광범위 자궁적출술 및 골반내 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ervical cancer and some of these factors might be helpful for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The clinical and statistical abservation was made on 175 cases confirmed as the cancer of cervix who were admitted to the Gynecologic wards of St. Mary`s Hospital, Catholic Medical College in Seoul from January 1972 to December 1976.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patients, 117 cases(66.9%) were found in the group of age between 35∼49 years. 2. Earlier the age of first marriage and of pregnancy, higher the risk of cervical cancer was found. 3. At advanced stage of cervical cancer, lower the schooling level of patients, the incidence was higher. 4.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regnancy and delivery within the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5. Patients from rural area showed higher incidence in advanced cervical cancerthan urban residence. 6. The degree of class in Pap`s smear was rising as degree of the advanced cervical cancer. 7. In the early stage of cervical cancer, symptomless cases were predominant but in more advanced cases, the contact bleeding was most frequent and the others were leukorrhea and serosanguineous vaginal discharge in order. 8. In the portio finding of cervical cancer, eroded types were 112 cases(64.0%), everted types 33 cases(18.9%), and ulcerative types 33 cases(18.9%) respectively. 9. Patients, registered at the Cancer Research Center have shown better chance for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10. It was very hard to get 5 year survival rate because of short term follow up study. But survival rate was showing a gradual increment yearly.

      • KCI등재

        인공임신중절의 불임에 미치는 영향

        유한선(HS Yoo),김도강(DK Kim),정구윤(KY Chung),송승규(SK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저자들은 요즈음 출산억제의 한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인공 임신중절술에 있어서 이에 따르는 심각한 후유증의 하나인 불임증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73년 4월부터 1977년 3월까지 5년간 카톨릭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에 입원 또는 내원하여 불임증을 호소하였던 환자중, 비교적 검사가 충실한 1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 임신중절을 받은 환자수와 이들에서 골반염증의 발생수를 대조군인 초산부와 비교 통계처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속발성불임군과 대조군에서 인공 임신중절 경험 예를 비교하였던 바 각각 35명(54.7%), 39명(21.7%)이었으며, 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의 차가 있었고(P<0.01), 골반염증군에서는 인공 임신중절 경험예가 107명(59.8%)으로 타군보다 높았으며 인공 임신중절의 빈도도 평균 3.9회로 제일 높은 것으로 보아 인공 임신중절이 골반염증의 원인중 큰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타 원발성 불임군, 속발성불임군 및 대조군 공히 20세 이하의 여성은 없었고, 26세와 30세 사이가 각각 59명(51.3%), 24명(37.5%), 101명(56.4%)로 제일 많았고 각군의 평균연령은 큰 차이가 없었다. 기왕력에 있어서는 원발성불임군에서 내과적 기왕력은 총 11예(9.5%)로 이중 결핵성 질환이 7예(6.1%)였고, 속발성불임군에서는 내과적 기왕력 10예(15.6%)중 난관염, 임균감염, 결핵성늑막염이 5예(7.8%)였다. 또 현증에서 속발성불임군과 초산부에서 각각 41예(64.0%), 29예(16.2%)가 자궁골반염, 난관폐색, 골반결핵, 질염 등 세균감염에 의한 것이였고, 이중 인공 임신중절과 관계된 것은 21예, 9예였다. 결론적으로 속발성불임군에서 인공 임신중절의 경험예가 대조군에서보다 많았고 통계적 유의의 차가 있었고, 골반염증군에서 인공 임신중절이 그 원인에 큰 비중을 차지함을 보아 인공 임신중절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induced abortion on infertility, a total 179 infertile women were studied. We studied 115 women with primary infertility and 64 with secondary infertility who were registered, from 1973 to 1977 at Endocrine Clinic,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St. Mary`s Hospital. The control group was 179 primipara who were delivered of their first babies in this hospital in the same period. For evaluation of correlationships between induced abortion and infertility, number of patients who experienced dilatation and curettage(D&C)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ary infertility and primipara. And also, number of patients with D&C in PID(pelvic inflammatory disease) group(179 Women)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re no women under the age of 20 in primary infertility, secondary infertility and in the control group. Number of women 26 to 30 years of age were 59(51.3%), 24(37.5%) and 101(56.4%) in the three groups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mean age between thre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mean age between three groups. 2. There were 41 cases(64.0%) and 29 cases(16.2%) which were related te bacterial infection in the secondary infertility and control groups. Among these, 21 and 9 cases were combined with D&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 Number of women who experienced D&C were 35(54.7%), 107(59.8%) and 39(21.7%) In the secondary infertility, PID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on the number of D&C between the secondary inertility and control groups(P<0.01) and also the same result wes revealed between PID and the control groups(P<0.01).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uced abortion on infertility, we have to study the patients who complained infertility after D&C, but there are many difficult problems to collect the data in our hospital. So we performed retros

      • KCI등재

        분만중에 자연발생한 신생아 두개골 완전골절 1례

        권오석(OS Kwon),정희자(HJ Chung),김도강(DK Kim),황순경(SK W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5 No.4

        36세의 경산부(5-0-1-3)가 임신 41주에 아두골반 불균형의 진단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 3.7kg의 남아를 자연만출하였고 신생아는 상태불량으로 X-선촬영 결과 자연적으로 발생된 두혈종 및 두항골 환전골절을 발견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is is a case of complete cranial fracture which we had experienced at St. Mary`s hospital on July 12, 1968. The incidence of spontaneous cranial fracture is so rare that we are reviewed for the literature.

      • KCI등재

        정상여성 및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HSV-II중화항체

        남궁성은(SE Namkoog),황인수(IS Hwang),김도강(DK Kim),이준모(JM Lee),이연태(YT Lee),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자궁경부암과 HSV-II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저자들은 51예의 정상여성과 29예의 비침윤성 경부암 및 49예의 침윤성 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HSV-II 중화항체의 분포 및 역가를 시험관내 중화반응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SV-II 중화항체는 정상대조군에서 12/51예(23.5%)에서 양성임에 반하여 비침윤성 경부암에서는 18/29예(62.1%)였고, 침윤성 경부암에서는 42/49예(85.7%)로 비참윤성 및 침윤성 경부암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침윤성 경부암의 경우 HSV-II 중화항체의 각 임상기별 분포는 임상기가 진행할수록 점차 높은 양성율을 보여주었다. 2. HSV-II 중화항체의 연령별 분포는 정상대조군이나 경부암군 모두에서 31세가 지나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41-60세에 최고 분포를 보여주었다. 3. HSV-II 중화항체의 역가는 정상디조군에서 1:64이하의 낮은 역가를 보임에 반하여 경부암군에서는 경부암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침윤성 경부암의 경우에는 1:128 이상의 높은 역가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SV-II는 자궁경부암의 암화과정의 원인인 자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cancer and HSV-II infection, we performed this study on the subjects consisting of 51 normal women, 29 non-invasive and 49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Distrbution and titer of HSV-II neutralizing antibody in sera of subjects were measured by in vitro doubling-dilution neutralizing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SV-II neutralizing antibody showed more positives in non-invasive and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s 18/29 cases(62.1%) in non-invasive and 42/49 cases(85.7%) in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12/51 cases(23.5%) in control group. Distribution of HSV-II neutralizing antibody showed more increased tendency as progressing of clinical stage. 2. Distribution of HSV-II neutralizing antibody by age showed gradual increase from 31 years and peak at 41-60 years in all cases. 3. Titer of HSV-II neutralizing antibody was lower than 1:64 in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iter of HSV-II neutralizing antibody was higher as progressing cervical cancer and was higher than 1:128 in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HSV-II is one of etiological factors of cervical cancer.

      • KCI등재

        X - 선 유방촬영술 ( Mammography ) 을 이용한 생리적 유방변화외 기타 유방병변에 관한 관찰

        배석천(SC Bae),장봉림(BR Jang),김도강(DK Kim),송승규(SK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저자들은 1976년 1월부터 만 1년간 카톨릭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산부인과학교실에서 환자 51명에 대한 53예의 X-선 유방촬영술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상구조는 월경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점차 얇아져서 월경후 12일경에 가장 얇아지고 선명하게 보이며 그후 월경의 시기에 가까이 갈수록 주상구조는 점차 두꺼워지며 소실되고 선상구조의 유식을 보인다. 2) 임신부터 산후 3일에 가까울수록 선상구조의 증식은 더 심하여지고 산후 3개월로 갈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임신과 수유시에는 선상 구조의 증식 때문에 병적 소견을 발견하기 어렵다. 3) 폐경의 기간이 길수록 주상구조는 더욱 얇아지고 현저해지며 선상구조는 점차 소실되고 지방으로 대체된다. 4) 병적소견이 있었던 9예중 5예에서 DY형의 유방을 보였고 N1형은 없었다. 그러므로 DY형의 유방을 가진 사람은 더욱 더 주의깊은 검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Having reached a statement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 the therapy of breast carcinoma, many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methods of earlier diagnosis. Toward this end the utility of survey mammography as a cancer detection method has been widely tested. Female breast have great individual variation in shape, structure, and size. And moreover there are gross and histological changes following menstruation, pregnancy, lactation and menopause. So these physiologic changes are the base in the diagnosis of breast diseases. 53 mammography were performed on 51 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76 to December, 1976 in Ob & Gyn Dept. of Catholic Medical Colle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rabeculation of the fibrous tissue support is prominent on the twelveth day of the cycle. Later, proressive swelling and denseness of firous tissue occurs with loss of trabeculation. Tissue density reaches its height at the beginning of the menses and then regreses. 2) The proliferation of ductal pattern progress during the pregenancy till the postpartum third day and then regressed. During pregnancy & lactation, the detection of pathologic lesion is difficult due to proliferation of ductal pattern. 3) The more advancing age after-menopause is, the more prominent trabeculation becomes, the more ductal pattern regressed and changed to fat. 4) In 9 cases of pathologic findings, 5 cases showed DY type and there was no N1 type. So the DY type breast must be taken more careful examination.

      • KCI등재

        다태임신의 임상통계적 관찰

        배석천(SC Bae),남궁성은(SE Namkoog),김도강(DK Kim),오원섭(WS 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7

        가톨릭 의과대학 산하 8개 병원 산실에서 1970년 1월1일부터 1974년 12월31일까지 만 5년간 총 분만수 41272명중 다태임신 551명에 대한 임상통계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단태분만에 대항 쌍태, 3태 그리고 4태 분만의 비율은 각각 1:76.0, 1:5896 그리고 1:41272 였으며 연도별 빈도는 의미잇는 변화를 볼 수 없었다. 2. 다태임신의 연령분포는 최연소자 18세, 최고령자 44세였고, 평균 연령은 29세였으며 경산 부가 쌍태, 3태 그리고 4태에서 각각 63.4% , 85.8% 그리고 100%였다. 3. 쌍태에서 다태이민의 가족력이 잇는 사람은 26예(6%) 과거력이 있는 사람은 2예(0.5%)였 다. 4. 임신기간은 쌍태의 경우 37-40주군이 57.9%, 3태의 경우도 37-40주군이 50%로 가장 많 앗고 4태는 33-36주군에 잇엇다. 5. 쌍태의 분만지속시간은 평균 16시간 12분이엇고 제 1아 만출로부터 제2아 만출까지의 소 요시간은 평균 11분이었다. 6. 태위는 쌍태에서 두위-두위가 47.3%, 두위-둔위가 41.1%로 대부분이었으며 3태와 4태에 서 제 1아가 두위인 것이 각각 3예, 1예이었다. 7. 쌍태아의 평균체중은 2295.7gm으로 제 1아는 2349.5gm이고 제2아는 2241.8gm이었다. 8. 쌍태에서 양측 남아가 40.2% 양측여아가 41.1%로 동성인 경우가 81.3%, 남녀이성인 경우 가 18.8%였으며 태반은 단일융모막 및 이중양막이 약 반수를 나타냈다. 9. 모체의 합병증으로는 산전에는 임신증독증, 조산, 빈혈, 분만중에는 조기파수, 자궁기능부 전, 그리고 분만후에는 산후출혈 등이 있었다. 1. During the period there were 543 sets of twin births 7 sets of triplets and 1 set of quadruplets and no sighnificant difference revealed annual incidence of multiple births. 2. The youngest was 18 year old woman, the oldest was 44 year old woman and average age was 29 year old woman in multiple pregnancies. Primipara was occupied 63.4% 3. The familial and previous history of multiple pregnancies was 26 (6%) cases and 2 (0.5%) cases in twin pregnancies respectively. 4. An incidence of 57.9% of twin and 50% of triplets were delivered between the 37th and 40th week of gestation and one case of quadruplets was belong between 33th and 36 th week of gestation. 5. In presentation of twin pregnancies vertex vertex combination was 47.3% and vertex-breech combination was 41.1%. Vertex presentation of 1st twin was 3 cases in triplets and 1 caese in quadruplets. 6. In the twin deliveries were 218 (40.2%) cases of both males, 223 (41.1%) cases of both females and 102 (18.8%) cases of opposite sex. And in about half of the twin deliveries the placentas with monochorionic and diamniotic membranes were seen 7. The mode of delivery in twin pregnancy the 1st twin baby 51.6% in sponataneous delivery, 21.9% in vaccum delivery and 13.1% in cesarean section and the 2nd twin baby was 31.7% in spontaneous delivery 27.9% in breech extraction and 19.1% in vaccum delivery. 73 cases of cesarean section 13.4% was encountered it`s main indication being such as uterine dysfunction and elective cesarean section. 8. As maternal complications of twin pregnancy ; the antepartum complication was toxemia, premature labor and anemia, the intrapartum complications was PRM and uterine dysfunctin, and the postpartum complication was postpartum hemorrhage, etc 9. there were 133 perinatal deaths it revealing 12.6% of perinatal mortality rate of twin and two cases of maternal deaths were encountered.

      • KCI등재

        과립-난포막 세포종의 임상병리학적 연구

        박대순(DS Park),인재(IJ Kim),윤희종(HC Yoon),노덕영(DY Ro),송기창(KC Song),김도강(DK Kim),남궁성은(SE Namko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0

        1980년 가톨릭의대 산부인과에 입원한 난소의 과립-난포막세포종 환자중 수술후 항암화학요 법을 시행하고 그 기간중 혈청 estradiol 농도를 추적검사한 6예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 론은 얻었다. 1. 연령분포는 6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였으며 평균 43세이었다. 2. 임상기는 Ia에서 IIc까지 있었다. 3. 수술은 환측부속기 절제술 또는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부속기절제술과 함께 골반임파절생 검까지 하였으며 전예에서 수술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4. 기초 estradiol 치는 92 pg/ml에서 527pg/ml로 평균 261pg/ml이었고 수술후에는 25pg/ml에 서 217pg/ml 로 평균 81pg/ml이엇으며 1예에서는 부분반응후 재발이 의심되어 항암화학요법 의 전향으로 완전반응을 보였다. 이상으로 과립-난포막세포증 환자들의 치료효과 판정과 관리에 있어서 혈청 estradiol농도의 측정은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The clinicopathological study with follow up of serum estradiol concentration were made on 6 patients with ovarian granulosa theca cell tumor. The patients were operated and all of them were perfomred of postoperative combinatin chemothera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ge distribution of those 6 patients was between 6 and 70 years. The mean age was 43 years. 2. The clinical stages were distributed between Ia and IIc. 3. The operation performed were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ot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or with pelvic lymph node biopsies. All patients were obtained postoperative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vincristine, actinomycin-D and cyclophosphamide or vinblastin bleomycin and cisplatin 4. The preoperative serum estradiol concnetration were distributed between 92 pg/ml and 527 pg/ml (the mean value was 261 pg/ml) the postopertive serum estradiol concetrtion were distributed between 25 pg/ml and 217 pg/ml 5.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vincristine actinomycin-D and cyclophosphamide was effective in 5 patients and 1 patients was switched the chemotherapy from vincristine ,actionomycin-D and cyclophosphamide to vinblastin bleomycin and cis-platin because of elevated serum estradiol concnetration and satisfactory effect was sh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