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개인 및 대학 변인의 위계적 관계

        김국현(Gukhyeon Kim),나승일(Seung-il NA)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개인 및 대학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총 28개 전문대학교에서 수집한 734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 하였으며, 위계적 선형모형(HLM)의 무선효과 일원변량분석, 무선효과 회귀계수분석, 절편-기울기 결과모형 분석,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는 소속 대학 간 차이에 의해 설명되는 비율보다는 학생 간 차이에 의해 설명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개인 변인 중 성취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에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 학생의 성별, 학년, 취업관련 경험, 성취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은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 변인에서는 대학 학과 만족도가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위치, 학과계열, 대학의 진로지원, 교수지지 등은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전문대 학생의 개인 변인 중 성취동기는 자연과학 의학 계열, 공학계열, 교수지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대학의 진로지원을 통해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의 유형을 구분하거나, 대학 내에서도 특성화 분야와 비특성화 분야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포부와 성취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의 진로지원, 교수지지 등의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의 대학 간 변량을 설명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변인에 대한 탐색 및 위계적 수준을 다양화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career Aspiration, student variables and college variables for the junior college students in Korea. A total of 734 of 28 junior colleges data were analyzed by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with Random Effects, Ran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 Intercepts and Slopes-as-Outcomes Model, and Cross-Level interaction Model of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individual level variables,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positive effects on career aspiration. Second, in the case of college level variables, college and majo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career aspira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dividual variables, affected the career aspir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by interacting with college variable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ly, it is needed for future studies to conduct by junior college type or by dividing a college into a specialized area and a non-specialized area. Secondly, it is required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aspi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areer support of college, and professor support. Thirdly, it is required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explaining the career aspir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between-group variate and conduct studies with more diverse hierarchic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