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서비스 혁신 과정에서의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

        김정원(Jungwon Kim),지민정(Minjung Ji),김광순(Gwangsoon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2013 년 이래로 한국 정부는 국민 행복이 국가발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선순환을 만들고자 ‘정부 3.0’ 운영 패러다임을 토대로 다양한 정책적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3.0’ 패러다임 구현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정책설계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졌으나, 실제 정책수립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프로세스가 없다는 문제 제기에 착안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디자인 진흥원은 정책 수립 및 공무원의 교육을 총괄하는 안전행정부, 서비스디자인 전문기업과 함께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정책 수립 단계를 제안하였다. 동 정책 수립단계의 특징은 정책의 공급자인 공무원과 수요자인 국민이 함께 정책 기획 과정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제안된 정책수립 단계의 활용 가능성, 확산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19 개 각 부처의 주요정책 개발과정에 시범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이 기존 정책설계 단계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효과성을 인식한 정부는 다양한 분야의 공공정책 수립 과정에 서비스디자인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사고방식이자 프로세스 혁신 접근법으로서 디자인의 효과성 및 가치에 대한 인식이 보다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human-centered design in policy-making process. It also aim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in public service inno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human-centered policy-making process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service design process. And suggested model was applied to nineteen governmental departments’ main policy-making process via co-creation workshop for six weeks. According to the result, public service providers and citizen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were satisfied with human-centered service design approach. I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ervice design approach provided specific ways to sympathize with citizens’ experience and to discover present issues. After the pilottest, most of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needs to adopt service design-oriented policy making process for public service innov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large the roles of design in public service innova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