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강관리 프로토콜 적용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고형암 환자의 구강상태 및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정미숙(Mi Sook Jeong),송지은(Chi Eun Song),이애리(Ae Ri Lee),정은숙(Eun-Suk Jung),김광숙(Gwang Su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관리 개별교육과 냉동요법 및 벤지다민 구강함수를 포함한 구강관리 프로토콜 적용이 대상자의 구강상태와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총 연구 대상자는 31명이었으며, 실험군에 13명, 대조군에 18명이 배정되었다. 실험군에게는 구강관리교육, 냉동요법 및 벤지다민 구강함수를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기존의 구강간호를 제공하였고, 대상자의 구강상태와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n-Whitney test, Friedman test, 및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매 측정 시기 별 두 그룹 간 구강상태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그룹 모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상태의 변화는 유의하였는데 항암치료 후 14일경에 구강상태점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자가간호 수행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구 완료 후 4개월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양간호사에 의한 환자개별교육의 효과로 여겨지며 고형암 환자의 구강상태 개선을 위하여 냉동요법과 벤지다민 구강함수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oral care protocol including individual oral care education, cryotherapy and benzydamine gargling on oral cavity status and self-care performance in solid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irty-one patients were enroll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this study and allocated to control (n=18) and experimental group (n=13). In the intervention group, individual oral care education, oral cryotherapy and benzydamine gargling were applied,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pre-existed oral care. Oral cavity status and self-oral care behavior were measured in five peri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Friedman test, and Chi-square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cavity status between the groups. But the two groups showed the poorest oral cavity status on 14th day. Self-care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is effect had maintained for 4months after completion of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oral care education by oncology nurse is effective to encourage patients to do self-care behavior and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 of cryotherapy and benzydamine gargling on oral cavity status of patient with solid tum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