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ack 5 : 정보과학영재; QR코드를 이용한 초등학교 4학년 스마트 감상 미술 교과서 개발

        김가진 ( Ga Jin Kim ),홍창의 ( Chang Euy Ho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아날로그인 교과서에 디지털인 모바일 웹 앱을 QR코드로 결합해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연구이다. QR코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의 인식도와 활용여부를 설문조사로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교과서로 공부할 때 가장 효율적인 디지털 방법이 무엇인지 학습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 U-Learning기반의 스마트 교과서를 설계했다. 다음으로 모바일 웹 앱을 프로그래밍해서 만든 후 QR코드로 제작해 미술교과서에 부착해서 스마트 교과서를 만들었다. 만든 후 사용만족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더욱 정교한 QR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교과서가 개발된다면 지금의 종이 교과서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에서의 진정성 리더십 연구방향

        윤정구(Jeong gu Yoon),김가진(Ga jin Kim),홍지혜(Ji hae Hong),아지예(Jia ie Lee) 대한리더십학회 2011 리더십연구 Vol.2 No.2

        본 리뷰에서는 한국에서의 진성리더십 연구를 정착시키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구과제들을 다루고 있다. 진성리더십의 연구는 2004년 네브라스카 갤럽 연구소의 리더십 컨퍼런스에서 주창되어 미국에서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학술적 논문이 한편도 생산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리뷰에서는 한국에서의 진성리더십 연구가 진행될 경우 핵심적으로 다뤄야 할 세 가지 연구주제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는 이론적 모형을 검증할 수 있는 실증 연구이다. 둘째는 사회 일반 엘리트에 적용시켜 이론적 모형의 외적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효과성이 입증괸 변수를 중심으로 리더십 훈련프로그램화하고 이의 효과성을 검증해보는 연구이다. This review proposes three research topics on authentic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was initiated by the conferences of Gallup Leadership Institute's in 2004 in the United States. In Korea, however, the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is so premature that no scholars have produced any academic paper yet. To fill the gap, lhis study suggests throe key studies. The first study is about to examine the theorctical model of authentic leadership in the business leader context in Korea. The second study is to examin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first study by testing the model over more general samples sud1 as soda] leaders. The third is to construct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by pulling out the key variables from the validation studies and conduct the intervention evaluation on their training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