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업률과 총생산간의 상충관계: 한국의 경우

        김준원 ( Joon Won Kim ),길천정 ( Qian Ting Ji )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3 경제연구 Vol.34 No.1

        실업과 경제활동 사이의 경험적 관계를 가장 먼저 밝힌 Okun(1962)은 실업률의 포인트변화가 초래하는 경제성장률의 변화는 약 3.6%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오쿤의 계수 추정치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수많은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은 1990년대 후반 들어서야 본격화되었으며, 분석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경제에서 실업률과 총생산간의 상충관계를 차분모형과 동태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이를 재해석하고 있다.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뿐만 아니라 청년실업률도 고려하였으며, 경제의 구조적 변화가 오쿤의 계수에 미친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실업 관련 오쿤의 계수는 전체 실업의 그것보다 유의적으로 작다. 이는 청년고용의 경기 민감성이 전체 고용에 비해 크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둘째,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이후 오쿤의 계수는 전체 실업의 경우 3.7 ∼ 4.7로 낮아졌으며, 청년실업의 경우에는 선진국 수준인 3.1 ∼ 3.3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이는 구조변화를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태모형의 분석결과도 이상의 결론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다. Okun (1962) who investigated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argued that the  point change in unemployment induces changes in the rate of economic growth around by . Many empirical studies focusing on the developed countries confirm this magnitude of Okun`s coefficient. Evidence from Korea, however, is up until now in sharp contrast without unified opinions. This paper, by using both the standard difference models and the extended dynamic models, estimates the unemployment-output tradeoff in the Korean economy and reinterprets the results on the Okun`s law.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Okun`s coefficient for youth unemploymen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for general unemployment. This result implies youth employment is more procyclical than general employment. Second,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Korean economy by rendering labor market more flexible markedly lowers the Okun`s coefficient for general unemployment to ~ and that for youth unemployment to ~, which is commensurate with evidence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Finally, results of the dynamic models support strongly the above upsh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