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인정욕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길민희,김영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인정욕구가 학업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인문계고등학교 남녀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정욕구와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정욕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검증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셋째, 인정욕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전체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인정욕구가 높을수록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주고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로서 학업지연행동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어 이러한 결과는 학습상담과 예방적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ed for approva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in the process. All the results and data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ere all gained from conducting surveys on 47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5 academic high schools.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sults of Sobel tes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re as follows. Firstly, need for approval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ly,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or the effect of need for approval on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whole self-efficacy make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higher need for approval makes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can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academic procrastination as a partial mediator, and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of counseling and preventive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