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매노인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매노인 부양 가족 101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 건강 척도, 자아효능감척도, 대인관계 지지 평가 척도,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32.2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치매노인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자아실현의 증진, 사회적 지지망의 이용을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부양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101 family members who care-giving the elders with dementia.Using the perceived health self rating scale, self-efficacy scal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subjects were self-reported with questionnaire by convenient sampling.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3.0.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average item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ubjects was high at 132.21.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tress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elf actualization.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y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rd,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amily members who care-giving the elders with dementia.Therefore,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care-giving family in clinical social work are suggested by input of social services reflecting promotions of self-efficacy, self actualization, and the use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 말기 암환자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말기 암환자 부양 가족 102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자아효 능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 건강척도, 대 인관계 지지 평가척도, 자아효능감척도, 건강증진 생활양식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 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 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말기 암환자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망의 이용,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효과적인 부양 가족을 위한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102 family members who care-giving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Using the perceived health self rating scal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self-efficacy scal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subjects were self-reported with questionnaire by convenient sampling. 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item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ubjects was high relatively.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tress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elf actualization.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y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rd, the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amily members who care-giving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Therefore,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care-giving family in clinical social work are suggested by input of social services reflecting the use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and promotion of self-efficacy.

      •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대학생 115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요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 표집하여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 자기애적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섭식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9.5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자기애적 성격성향, 다이어트 행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는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행위의 고려를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여자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11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helping management in clinical social work. Using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multidimensional dietetic attitude inventory, subjects were self-reported with questionnaire by convenient sampling. 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item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ubjects was high at 129.51.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tress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elf actualization.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y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r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were the factors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social work are suggested by input of social services reflecting promotions of health considering with the factors which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 노인 대상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 적용 연구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노인 대상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의 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원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문헌연구 및 노인 대상 성교육 및 성상담 실천현장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노인 성교육 및 성상담에 대 한 인식을 묻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노인복지회관에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였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이 갖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남녀 간의 성적 차이, 성 인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대처하기 위해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더니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노인의 성문제 해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적 요인 적용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은 노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남녀 간의 성적 차이와 성 인식의 차이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exploratory research to find the effective helping method for sexuality problem by applying the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to the elderly people in social welfare label. The Focus Group Interview has been done to specialists, who are in the practical field for the aged person’s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asking recognitions to the elderly people’s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is study was enforced by literature research of the aged person’s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 of interview,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applying social welfare has been made, and then specialists, who are in elderly people’s support center, proceeded and observed the group of aged persons and evaluated the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had been shown the high satisfaction overall and also can predict to fi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 by managing the sexu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applying social welfare program to handle the problems of elderly people’s communication, sex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sexuality perception difference. This program is also predictable that affecting to improve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sexuality and perception difference of the elderly people.

      • KCI등재
      • 호스피스 실천과 교회의 노인복지사업 연계 연구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이론적 연구는 교회와 지역사회간의 관계들을 설명하여 교회사회사업으로서 노인을 위한 죽음, 임종, 그리고 사별에 관련하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실천적이고 위기개입적인 가치들을 정립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교회사회사업 접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교회들이 교회사회사업으로서 호스피스 프로그램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죽음과 사별에 관련된 욕구를 가진 노인을 위한 사회 서비스의 질과 양을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자원봉사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서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사회 통합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가정하고 있다. 이 이론적 연구는 인간 자원 훈련 프로그램을 가진 교회와 연계함으로서, 노인을 위한 죽음, 임종, 그리고 사별과 관련하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실천적이고 위기개입적인 가치들이 입증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노인을 위한 교회사회사업의 적용들은 지역사회와 가치 지향적인 서비스로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실천함으로 강조되어질 수 있다. This theoretical study attempts to establish practical and crisis-interventive values of hospice program relating death, dying, and bereavement for the aged as church social work by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urch and community. Based on the church social work approach,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assumes that whether churches can adapt hospice programs as the church social work, have quantities and qualities of social service for the elder with needs related death and bereavement and perform social integration functions cooperating with community as the use of volunteers service program or not. This theoretical study revealed that by combining church with person resources training program, practical and crisis interventive values of hospice program relating death, dying, and bereavement for the aged could be improved. Adaptations of church social work for the aged could be emphasized by practicing programs of hospice and community as the value-oriented services.

      • 다문화가족에 대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 적용 연구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다문화가족을 위하여 교류분석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문헌연구 및 다문화가족 실천현장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묻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였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족들이 갖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 생활양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대처하기 위해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더니 교류분석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해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문화적 차이와 생활양식의 차이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exploratory research to find the effective helping method by applying the Transactional Analysis to multicultural family in social welfare label. The Focus Group Interview has been done to specialists, who are in the practical field for multicultural families, for asking recognitions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is study was enforced by literature research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result of interview, transactional analyzing program has been made, and then specialists, who are in multicultural family’s support center, proceeded and observed the group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aluated the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had been shown the high satisfaction overall and also can predict to fi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 by managing the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to handl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y’s communication, and the culture and life style difference. This program is also predictable that affecting to improve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life style differ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