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의 투여(投與)가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권춘수,변명대,장인호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8 慶北大農學誌 Vol.6 No.-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의 투여(投與)가 황체퇴행(黃體退行)시에 야기되는 호르몬 함량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의 10일에 (Lutalyse) 5mg을 3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注射)한 다음 경시적(經時的)으로 혈중(血中)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발정주기(發情週期)의 10일에 를 주사한 결과 혈중(血中) progesterone의 평균농도는 주사직전에 였으며 주사후(注射後) 3시간에 로 약 60% 감소(減少)하였으며 12시간에는 로 감소(減少)하여 72시간까지 1.02ng/ml 이하로 감소(減少)하였다. 혈중(血中) estradiol- 함량은 투여후(投與後) 6시간부터 유의(有意)하게(p < 0.05) 증가(增加)하여 72시간까지 유지되었다. 혈중(血中) LH함량은 주사직전에 였으며 투여후 3~12시간에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후 24~72시간 사이에는 에서 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혈중(血中) FSH 함량은 투여전 였으며 투여후(投與後) 3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2시간까지 유의차없이 약간 감소(減少)를 나타내었다. 혈중(血中) prolactin의 함량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투여후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LH함량의 최초 증가는 혈장중(血漿中) progesterone의 감소로 기인된 것이며 성선척극(性腺刺戟) hormone의 분비형태(分泌形態)는 황체(黃體)의 퇴행시에 progesterone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의 함량비의 차이로 인하여 상위되었다고 본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duced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ovarian and pituitary hormones of Korean native goats. Each goats received two injections of (5mg each ; 3 hours apart) on day 10 of the estrous cycle. Jugular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0, 3, 6, 12, 24, 48 and 72 hours postinjection for quantification of LH, FSH, prolactin, progesterone and estradio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blood serum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was decreased from pretreatment level of to (about 60%) within 3 hours and to at 12 hours of the injection. After 12 hours,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were less than 1.02ng/ml by 72 hours postinjection.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following treatment increased (p < 0.05) over the 72 hours. Initial concentration of LH was . After treatment with , concentrations of LH increased within 12 hours but declined 12 and 72 hours from to . Prior to administration of , mean concentration of FSH was . Concentrations of FSH declined over time in goats treated with on day 10 postestrus. The mean prolactin concentrations in the blood serum after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treat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initial increase in LH is dependent on a decrease in serum progesterone and differences in patterns of secretion of gonadotropins might be caused by differences in progesterone or progesterone-estradiol ratio when luteal regression is induced on day 10 of the estrous cycle.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F_{2{\alpha}}$의 투여(投與)가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권춘수,변명대,장인호,Kwon, Chun Su,Byun, Myung Dae,Jang, In Ho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8 慶北大農學誌 Vol.6 No.-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F_{2{\alpha}}$의 투여(投與)가 황체퇴행(黃體退行)시에 야기되는 호르몬 함량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의 10일에 $PGF_{2{\alpha}}$(Lutalyse) 5mg을 3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注射)한 다음 경시적(經時的)으로 혈중(血中)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발정주기(發情週期)의 10일에 $PGF_{2{\alpha}}$를 주사한 결과 혈중(血中) progesterone의 평균농도는 주사직전에 $4.15{\pm}1.8ng/ml$였으며 주사후(注射後) 3시간에 $2.52{\pm}1.2ng/ml$로 약 60% 감소(減少)하였으며 12시간에는 $0.81{\pm}0.3ng/ml$로 감소(減少)하여 72시간까지 1.02ng/ml 이하로 감소(減少)하였다. 혈중(血中) estradiol-$17{\beta}$ 함량은 $PGF_{2{\alpha}}$ 투여후(投與後) 6시간부터 유의(有意)하게(p < 0.05) 증가(增加)하여 72시간까지 유지되었다. 혈중(血中) LH함량은 주사직전에 $3.0{\pm}0.3{\mu}IU/ml$였으며 $PGF_{2{\alpha}}$ 투여후 3~12시간에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후 24~72시간 사이에는 $4.1{\mu}IU/ml$에서 $2.5{\mu}IU/ml$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혈중(血中) FSH 함량은 투여전 $3.5{\pm}0.5{\mu}IU/ml$였으며 $PGF_{2{\alpha}}$ 투여후(投與後) 3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2시간까지 유의차없이 약간 감소(減少)를 나타내었다. 혈중(血中) prolactin의 함량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PGF_{2{\alpha}}$ 투여후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LH함량의 최초 증가는 혈장중(血漿中) progesterone의 감소로 기인된 것이며 성선척극(性腺刺戟) hormone의 분비형태(分泌形態)는 황체(黃體)의 퇴행시에 progesterone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의 함량비의 차이로 인하여 상위되었다고 본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GF{2{\alpha}}$-induced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ovarian and pituitary hormones of Korean native goats. Each goats received two injections of $PGF{2{\alpha}}$ (5mg each ; 3 hours apart) on day 10 of the estrous cycle. Jugular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0, 3, 6, 12, 24, 48 and 72 hours postinjection for quantification of LH, FSH, prolactin,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blood serum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was decreased from pretreatment level of $4.15{\pm}1.8ng/ml$ to $2.52{\pm}1.2ng/ml$ (about 60%) within 3 hours and to $0.81{\pm}0.3ng/ml$ at 12 hours of the $PGF{2{\alpha}}$ injection. After 12 hours,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were less than 1.02ng/ml by 72 hours postinjection.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17{\beta}$ following treatment increased (p < 0.05) over the 72 hours. Initial concentration of LH was $3.0{\pm}0.3{\mu}IU/ml$. After treatment with $PGF{2{\alpha}}$, concentrations of LH increased within 12 hours but declined 12 and 72 hours from $4.1{\mu}IU/ml$ to $2.5{\mu}IU/ml$. Prior to administration of $PGF{2{\alpha}}$, mean concentration of FSH was $3.5{\pm}0.5{\mu}IU/ml$. Concentrations of FSH declined over time in goats treated with $PGF{2{\alpha}}$ on day 10 postestrus. The mean prolactin concentrations in the blood serum after $PGF{2{\alpha}}$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treat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initial increase in LH is dependent on a decrease in serum progesterone and differences in patterns of secretion of gonadotropins might be caused by differences in progesterone or progesterone-estradiol ratio when luteal regression is induced on day 10 of the estrous cycle.

      • 수캐와 고양이의 번식력에 관한 검사

        권춘수 대한수의사회 1998 대한수의사회지 Vol.34 No.8

        수의사들은 수캐와 고양이를 구입하기전 수캐의 번식력에 대한 검사를 요청 받을 때가 가끔 있다. 미국의 경우 Kennel club 지침에서는 7개월 보다 어린 개 또는 12세 이상된 개를 종견으로 등록할때는 번식력에 대한 소견서 혹은 증명서를 제출하여야만 한다고 되어있다. 번식력 검사에는 수캐의 완전한 병력을 수집해야하며 병력으로 과거 상처, 질병, 예방접종, 투약상태, 고환이 음낭으로 하강한 상태, 년령, 음낭부종 또는 외상의 발생상태 등이 포함되어야한다. 또한 애완동물의 가계에 대한 번식력에 대해서도 찾아보도록 노력해야 한다. 환축을 검사하기전 병력을 축주에 문의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건강한 수컷이 암캐와 교미를 하지 못할 경우에는 번식관리의 검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또한 산자의 최종출생일, 산자수, 교미회수, 번식시킨 암컷의 수, 교미형태, 수컷의 성욕 및 승가행위 등에 과한 것들을 조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병력으로 수컷은 항상 불임성을 최초에 불임성을 보였는지 또는 저임성을 보였는지를 알수있게 된다. 새끼를 낳아보지 못한 개와 고양이는 선천적으로 불임이 되고 이러한 수컷도 예후는 불량하다. 개와 고양이가 과거에 새끼를 임신한 경험이 없다면 생식기의 전염성 또는 염증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축주는 개 인공수정을 하기 위하여 정액을 채취할 때 물, 소독약 및 윤활제 등으로 인하여 정자의 사멸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채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암컷의 번식문제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검사하여야 하며 개와 고양이가 불임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번식관리에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암컷을 검사하기 전에 수컷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컷의 검사는 사진으로도 용이하므로 비용도 절감되나 암컷은 생식기관을 검사하여야 되기 때문에 많은 경비가 든다. 그러나 번식력의 유일한 증거는 태아를 생산하는 것이며 많은 다른 검사 방법으로 평가 할 수도 있으나 번식력을 증명할 수는 없다.

      • 암캐에 있어서 번식장애의 원인

        권춘수 대한수의사회 1999 대한수의사회지 Vol.35 No.1

        암캐에 있어서 번식장애의 병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많은 축주들은 번식장애를 일으킨 암캐들 중의 어떤 개를 소유하게 되었을 것이며 이는 과거에 의학적 문제에 관한 정확한 지식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불안전한 상태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동물을 소유한 축주로부터 병력을 알았다고 할지라도 올바른 평가를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많은 거리가 있을수도 있다. 그러나 병력을 통하여 적당한 진단계획을 세우는 것이 많은 가치가 있다면 병력을 얻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병력은 동물의 번식능력에 대한 기록, 발정주기, 발정간의 기간, 음부의 분비물, 과거 분만 곤란 및 강아지의 생존률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