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통합체육의 방향

        이학준 ( Lee Hakjun ),권욱동 ( Kwon Wookd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통합체육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코로나19 이후와 통합체육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이후 특징은 비대면, 비접촉, 사회적 거리 두기, 온라인 수업이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 통합체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감성의 통합체육이다. 지금까지 수와 양이 지배하는 계산적 사유, 이성의 통합체육을 넘어서는 태도를 강조하는 감성의 통합체육이 필요하다. 둘째, e스포츠 리터러시를 활용한 통합체육이다. e스포츠 리터러시는 e스포츠를 할 수 있는 소양을 말하는 것이다. 적어도 e스포츠를 할 줄 알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셋째, UDL 기반 통합체육이다. 통합체육은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보편적 학습설계를 기반하여 통합체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결론] 모든 학생을 위한 통합체육을 위하여, 코로나19 이후 통합체육은 앞의 세 가지 대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Method]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the pandemic context was analyzed. [Results] Featur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the pandemic context include non-contact, social distancing, and online classe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o consider emotion and move beyond rationality and purely quantitative approaches. Second, eSports literacy―the ability to play and enjoy eSports―should be encouraged. Thir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should be appli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Conclusion] For physical education to be truly inclusive for all students, the suggestions advanced here should be adopted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제한점: 특수 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점으로

        이미경 ( Lee Mikyung ),이학준 ( Lee Hakjun ),권욱동 ( Kwon Wookd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가능성과 제한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6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진행한 인터뷰 녹취 자료를 전사하여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을 전사한 후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현장에서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이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기대효과는 크며, 다양한 교과목 수업 시 적용가능하다. 교수-학습 방법은 토론, 문제해결방식 등과 같은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학생의 수준별 수업이 가능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메타버스 활용한 수업 시 발생하는 제한점은 학생지도의 어려움, 교육적으로 활용가능한 플랫폼의 부족 및 비싼 장비, 사이버상에서 일어나는 윤리적 문제를 들 수 있다. 셋째, 메타버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과 제도는 다양한 교육 플랫폼의 개발, 교육과정과 연계된 메타버스 단원 신설의 필요성과 사이버 윤리교육의 실시 및 교사연수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 현장에서 메타버스의 활용은 다양한 차원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육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터버스 교육용 플랫폼이 개발되고 학생들에게 메타버스 이용이 가능한 첨단 기기를 제공과 더불어 윤리교육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using the metaverse in the education. [Method]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from March 1 to March 31, 2022. Thes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Results] First, participant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in the education. and its expected educational effect is substantial. The metaverse can be applied to classes in various subjects, and multipl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can be used. such as discussion and problem-solving exercises. Classes are available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and the metaverse is an effective was of combining online and in person classes. Second, classes using the metaverse involve some limitations, including difficulties in providing student guidance, the lack of available platfoms, expensive equipment, and ethical issues derived form cyberspace. Third, the support and system necessary to use the metaverse educationally require further development of appropriate platforms, new metaverse units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cyber ethics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etaverse has great potential for use on various educational dimensions. In order to utilize it as effectively as possible, a platform for metaverse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high-tech device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and ethical education should also be deli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