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아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에 의한 발효유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증가

        이효구(Hyo-Ku Lee),권영태(Yung-Tae Kwon),강혜순(Hye-Soon Kang),윤칠석(Chil-Surk Yoon),정재홍(Jae-Hong Jeong),김인환(In-Hwan Kim),정수현(Soo-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인체의 장관에서 유래한 200여 Bifidobacteria 균주를 대상으로 CLA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1종과 국내의 유아로부터 분리한 12개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A를 CLA로 전환하였으며, 각 CLA 생산 균주들에 의한 CLA 이성체는 90% 이상이 cis-9, trans-11 CLA이었다. CLA 생산능과 전환율이 가장 높은 Bifidobacterium sp. KHU 141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을 때, 발효유의 CLA 함량은 대조구보다 39.6 ㎎/100 g 증가하여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효유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fermenter에서의 발효유 제조 시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A 함량은 감소하고 CLA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각각 소비된 LA의 86.0% 및 84.8%가 CLA로 전환되었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CLA 생산은 배양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fermenter에서의 CLA 생산능도 bottle이나 시험관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More than 200 Bifidobacterium sp. originated from human intestin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the Bifidobacteria tested, 1 of culture type strain and 12 isolated strains from Korean infants showed CLA producing ability.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 presented more than 90% of the total CLA isomers produced by the Bifidobacteria. CLA content in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sp. KHU 141 increased by 39.6 ㎎/100 g, which showed the potential use for producing fermented milk containing high content of CLA. In fermented milk, little changes showed in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s, whereas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LA)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CLA increased. Bifidobacterium sp. KHU 141 converted 86.0% and 84.8% of LA consumed to CLA for 24 hr and 48 hr fermentation, respectively. Prolonging incubation from 24 to 48 hours did not appear to enhance CLA formation and CLA producing ability was stable whether bottle, test tube, or fermenter was used for making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sp. KHU 141.

      • KCI등재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이효구(Hyo-Ku Lee),권영태(Yung-Tae Kwon),강혜순(Hye-Soon Kang),윤칠석(Chil-Surk Yoon),정재홍(Jae-Hong Jeong),김형국(Hyeong-Kook Kim),김인환(In-Hwan Kim),정수현(Soo-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 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br/> 였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yoghurts and the ability of dairy starter cultures to produce CLA were investigated. The CLA contents of yoghurts were in the range of 4.1∼14.8 ㎎/100 g. CLA contents in yoghurts depended on the amount of milk used for raw material. Regression tes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A concentrations and selected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of lipids in yoghurts. Among the 67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tested, o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e of Lactobacillus casei and three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were found to be capable of converting free linloeic acid to CLA and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 presented more than 70% of the total CLA formed. The CLA conversion rate of the screened strains ranged from 6.1% to 8.6% in whole milk for 24 hours at 37℃.

      • KCI등재

        유전자재조합식품 안전성과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하정철(Jeong Chul Ha),최수전(Soo Jeon Choi),권영태(Yung Tae Kwon),문태화(Tae Wha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8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듣거나 알고있는 인지도는 85.7%로 한국소비자보호원이 1999년 3월중 서울시내 20세 이상성인남녀 526명을 대상으로 선행 조사한 결과(73.4%)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2001년 국제식품정보위원회가 조사한 미국 74%, 호주 83%의 국외 인지도 조사결과와 비교해서도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GM 농산물의 개발이익에 대해서는 59.1%의 소비자가 식량증산 및 기아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GM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71.6%의 소비자가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식품독성(52.2%), 환경에 대한 위해 가능성(40.7%)에 대한 우려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GMO로 표시되어 판매되는 식품에 대해 53.2%의 소비자가 구매 거부 의사를 나타낸 반면, 7.4%의 소비자만이 구매의사를 보였다. 하지만 정보부재 등을 이유로 주변의 추이에 따라 판단을 유보하겠다는 소비자도 약 28.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M 식품에 대한 정보원으로서는 시민단체(44.9%), 언론매체(19.3 %)의 순서로 높은 신뢰를 보였으나 담당 정부기관인 농림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정보는 상당히 신뢰하지 않는 것(9.6 %)으로 답변함으로써 관련부처의 노력과 분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99.6%의 응답자가 표시를 찬성하는것으로 나타났으나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도’ 인지도에 있어서는 61.7%의 응답자가 잘 모른다고 상반되게 답변함으로써 관련부처의 홍보가 부족하였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표시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서는 표시문구를 보다 알아보기 쉽게 표시(45.2%), 허위표시 여부에 대한 감시와 정보제공의 강화(24.6%), 제도시행에 대한 홍보강화(16.5%)의 순서로 답변하였으며, 대다수의 답변자(95.1%)가 향후 표시품목의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표시제도의 재검토와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어졌다. A survey of consumers'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korean labelling regulation entered into force in July, 2001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1 to January 2002.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19 consumers who are members of panel survey system of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and lived in 7 largest cities of Korea. The consumers were asked about knowledge, concerns of potential hazards, intention of purchasing, and present labelling regulation. More than 85.7% of the respondents had some knowledge on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More than 44.9% of consumers reli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ivil activity group but only 9.6% of consumers from the government. The greatest benefit of GM food was thought to be a solution for the food shortage in the future. While, regarding a potential hazard, more than 71.6% of respondents worried about the safety of GM foods. First of all, 52.2% of korean consumer concerned about food toxicity or side effect. 53.2% of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purchase GM labelled foods and about 28.0% of respondents suspended judgement on willingness to purchase until they would get more information. Regarding complement field of present GMO labelling regulation, over 45.2% of consumers responded that labelling was needed to be more easily found. Also more than 95.1% of consumers hope to expand a list of mandatory labelling art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