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정 스마트공장 : 산업안전 기술로의 적용 가능성 실증

        권귀감(Kui-Kam Kwon),정우균(Woo-Kyun Jeong),김형중(Hyungjung Kim),전영준(Ying-Jun Quan),김영균(Younggyun Kim),이현수(Hyunsu Lee),박수영(Suyoung Park),박세진(Sae-Jin Park),홍성진(SungJin Hong),윤원재(Won-Jae Yun),정구엽(Guyeop Jung),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2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최근 제조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기술을 활용한 산업재해 방지 기술도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산업재해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스마트공장 기술의 적용을 통한 산업재해 방지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유형별 맞춤형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 스마트공장 기술을 통한 산업재해 방지 기술을 실증하였다. 작업자 신체 접근, 누전 및 과전류, 고온에 의한 화재 및 화상, 유해물질 배출이라는 네 가지 주요 재해 유형에 대해 비전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및 가스센서를 활용하여 맞춤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더불어 모니터링 된 위험요소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에 맞는 알림 방안을 적용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작업자와 관리자가 재해 위험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적정 스마트공장 기술의 적용 및 실증을 통한 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산업안전 기술의 확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s industrial safety increases, various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echnologies using smart factory technology are being studied. Howeve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industrial acci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applying these smart factory technologies due to practical problems. In this study, customized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s for each type of industrial accident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actual field. Through this, we demonstrated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echnology through appropriate smart factory technology used by SMEs. A customized monitoring system using vision, current, temperature, and gas sensors was established for the four major disaster types: worker body access, short circuit and overcurrent, fire and burn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emission of hazardous gas. In addition, a notification method suitable for each work environment was applied so that the monitored risk factors could be recognized quickly, and 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display enabled workers and managers to understand the disaster risk effectively.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se appropriate smart factory technologies, the spread of these industrial safety technologies is to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