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공조제가 Styrene-Butadiene Rubber 배합고무의 유변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미치는 영향

        강용구 ( Yong Gu Kang ),정훈 ( Hoon Jung ),김태년 ( Tae Nyun Kim ),김완두 ( Wan Doo Kim ),나창운 ( Chang Woon Nah ) 한국고무학회 2002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37 No.3

        공정조제의 성분 및 함량이 styrene-butadiene rubber (SBR) 배합고무의 유변학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정조제로 지방산, 지방산 유도 금속염, 에스테르, 알코올, 아미드 성분을 단독 혹은 혼합한 5종의 상용제품을 선택하였다. 공정조제 첨가에 따른 무니점도와 전단점도의 감소는 금속염이 주성분인 공정조제가 가장 컸고, 고분자량의 지방산 알콜이나 에스터의 함량이 높은 공정조제가 낮았다. 공정조제의 함량증가에 따라 인장 모듈러스는 감소하고, 발열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극한물성인 인장강도와 파단신장율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ffects of type and loading level of process aids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yrene-butadiene rubber (SBR) compound were investigated. Five commercial grades of process aids composed of fatty acids and their various derivatives such as metal salts, esters, alcohols and amides were selected .The reduction in Mooney and shear viscosities was higher for metal salt-type process aids, but lower for the process aids containing high molecular weight fatty acid alcohols and esters with increasing the loading of process aids. Tensile modulus generally decreased, while heat-build-up increased with increased process aids content. No considerable effect was observed for ultimate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 KCI등재후보

        그룹운동 프로그램의 참여중지가 여자 청소년의 신체구성, 심폐체력 그리고 정신신경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변정은 ( Byun Jung-eun ),구정훈 ( Gu Jung-hoon ),강은범 ( Kang Eun-bum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본 연구는 그룹운동 참여중지가 여자 청소년들의 신체구성, 체력 및 정신신경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집단은 통제 집단(Control: CON, n=11), 런닝운동 집단(Running exercise: RE, n=11), 및 그룹운동 집단(Group exercise: GX, n=11)으로 구분하여 총 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모든 대상은 운동중지 전과 후에 신체구성, 심폐기능, 정신지표 및 혈청 신경면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대산소섭취량과 운동시간에서 RE 집단과 GX 집단 모두 운동중지 전(post)에 비해 운동중지(detraining)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최대심박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지표에서 BDNF는 RE 집단과 GX 집단 모두 운동중지 전에 비해 운동중지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6, MCP-1, TNF-α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구성(몸무게, 체지방률과 BMI)과 정신지표(stress, depression and self-confidence)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4주간의 운동중지는 여자 청소년의 심페기능과 BDNF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운동프로그램 참여 기간과 운동중지 기간에 따른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청소년들의 가장 적절한 운동훈련 기간과 운동중지 기간을 밝혀내어 신체적 건강 및 정신신경면역학적 건강에 효과적인 최적의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exercise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psychoneuroimmunological factors in female adolescents. Thirty-three female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CON; n = 11), running exercise (RE; n = 11), and group exercise (GX; n = 11) and these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all subjects,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itness, psychoneuroimmunological factors, and serum neuroimmunological factors were completed before and after detraining. First, the changes in maximal oxygen uptake and exercise du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E and GX compared with the CON group,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detraining than before detraining, but maximum heart rat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change of serum n BDNF was significantly lower in RE and GX compared with the CON group, but IL-6, MCP-1, TNF-α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ange between groups. Finally, body composition(body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BMI) and mental stress(stress, depression and self-confidenc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ange between groups. Collectively, this indicates that 4 weeks of detraining can have negative effect on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BDNF in female adolescents. If more specific studi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detraining period of the exercise program, the most appropriate exercise duration period and the period of detraining will be revealed which may contribute to be provide the optimal exercise program effective for physical health and psychoneuroimmunological for the female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