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현역병사의 병영생활전문상담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하나(Hana Lee),구자경(Jagyoung Ko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는 현역으로 군복무중인 한 병사의 병영생활전문상담을 통한 자아정체성 변화과정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장소, 상호작용) 안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해 본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입대 전 가난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이혼으로 정서적 돌봄을 받지 못하는 환경으로 비롯된 열등감 때문에 친밀한 대인관계 경험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군에 입대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군복무 초기 집단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여 전문상담에 의뢰되었으며 17회기의 상담개입을 통해 <자기 이해 및 수용>, <대인관계 확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 <진로 탐색과 결정>의 상담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하면서 그의 자아정체성은 ‘한없이 여린 사슴 한 마리’ 에서 ‘하이에나 무리의 우두머리’로 변화하였고, 현재 전문하사로 역할이 변하면서 ‘용맹하고 허세 없고 정상까지 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호랑이’로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경험 이야기를 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병사들에 대한 이해와 병영생활전문상담의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reconstructed one active-duty soldier’s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change in ego-identity through military counseling and its meaning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Before the research participant joined the army, he had difficulty in building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 because of the sense of inferiority from the environments where he did not have enough emotional care due to his poor family background and parents’ divorce. After joining the army he had difficulties in getting adjusted to group life and was referred for specialized counseling From 17 sess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counseling were obtained: “self-understanding and acceptance”, “expans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 Also, as h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his experienced changes in his ego-identity from “one infinitely tender-hearted deer” to “a leader of a pack of hyenas,” and currently, as he took a new role as a professional staff sergeant, he talked about the experience of change in his identity into “a brave tiger without bluffing, and making an effort to get to the summit.”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better understand the soldiers and provides clin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specializing in military life.

      • KCI등재

        한 중년여성이 딸과 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순환(Soonhwan Kim),구자경(Jagyoung Ko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60대 초반의 한 중년여성이 딸과 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를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장소) 안에서 탐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 전화, 문자, 관찰, 연구일지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본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주눅 든 아이로 성장’, ‘결혼 후 겪은 경제적 어려움과 불행한삼각관계’, ‘남편을 닮은 사위와 나를 닮은 딸’, ‘외손자 양육을 떠맡고 쌓여가는 원망과 분노’, ‘사위에 대한 미움을 풀어내고 사위와 딸에게 부모 역할을 넘겨줌’, ‘즐거워진 손자 양육지원과 여유로운 개인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분화 경험의 의미를 ‘갈등의 뿌리를 찾아가다’, ‘시들어가는 검불로 살았던 자기를 자각하다’, ‘개별적 존재로서 자율성과 연결감의 균형을 찾아가다’, ‘큰 느티나무로 살아가기를 꿈꾸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한 중년여성이 딸과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를 전생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한 중년여성의 자기분화가 딸과 사위의 성장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d by a middle-aged woman in her early 60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and son-in-law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of temporality, sociality, place (Clandinin & Connelly, 2000).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calls, text messages, observations, and research journal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 as ‘growing as a timid child’, ‘financial problems and unhappy triangular relationship after the wedding’, ‘the similarities in the life of her husband and son-in-law and the life of her daughter and her’, ‘resentment and anger accumulating while raising a grandchild alone’, ‘letting go of hatred towards her son-in-law and handing over parenting responsibilities to her daughter and son-in-law’, and ‘happily helping child care for her grandchild and enjoying more leisure time.’ Th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the meaning of her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 as ‘Finding the root of conflict’, ‘Becoming aware of herself who used to live like withering weeds and bushes’, ‘Finding the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connection as an individual being’, ‘Dreaming of living as a big zelkova tre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a middle-aged woman’s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 with respect to her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and son-in-law from her whole-life perspective.

      • KCI등재

        친인척 위탁 청소년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위기지원 받은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장해영(Haeyoung Jang),구자경(Jagyoung Ko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는 친인척 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위기지원 받은 경험과 그 의미를 Clandinin과 Connelly(2007)가 제안한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위치시켜서 전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8년 11월(중학교 2학년)부터 2021년 5월(고등학교 2학년)까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위기지원 서비스를 받은 17세의 여자 고등학생이다. 7세 때부터 친인척 집에서 위탁양육을 받고 있는 연구 참여자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의뢰되어31개월 동안 맞춤형 위기지원 서비스를 받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친인척 집에서의 아프고 척박했던 삶의 의미를 <작은 아빠의 구타와 폭언>, <할머니의 부재와 고된 노동>, <성장에 필요한 돌봄의 박탈>, <마음 깊이 드리워진 우울의 그림자>로, 그리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위기지원 받은 경험의 의미를 <학대를 감시하는 초소>, <청소년동반자에게 마음을 열다>, <마음보따리를 풀어내며 안식과 위로를 얻다>, <세상을 긍정적으로 보게 하는 마중물>, <나도 꿈이 있어>, <마음을 환기시키는 힘이 생기다>로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상담지원과 복지지원이 연결된 맞춤형 위기지원 서비스를 받는 경험을 통해 ‘행복하고살맛이 나는’ 실제적인 성장과 변화를 일구어냈다.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과 세상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자기 안에 가려져 있던 내면의 힘을 발견하였고, 이 힘은 삶에 대한 의지를 갖게 하는 좋은 연료가 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placing the experience of youth living in relatives’ homes receiving crisis support at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and its meaning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exploration space (time nature, sociality, and plac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7).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7-year-ol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crisis support services from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from November 2018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May 2021 (second year of high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have been in foster care at their relatives’ homes since the age of 7, were commissioned to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and received customized crisis support services for 31 month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erived the meaning of painful and barren life of participants in the relative’s home as < Uncle’s beating and abusive language>, <the absence of a grandmother and hard labor>, <deprivation of care needed for growth>, <the deep down shadow of depression>,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receiving crisis support from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as <a guard post monitoring signs of abuse>, <opening one’s mind to Youth Companion>, <getting relief and consolation by releasing the burden off their mind >, <pumping water to see the world positively>, <I have a dream, too>, <having the power to refresh one’s mind>. Participants in the study created actual growth and change, thinking that the life can be happy and worth living through their experience of receiving customized crisis support services linked to counseling support and welfare support at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Through the process of telling and retelling their experiences, participants discovered the inner power hidden within themselves and this became good fuel to give them the will to liv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