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동강유역 홍수방지대책 제언

        구본충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2 한국관개배수회지 Vol.28 No.-

        지난 8월7일부터 8월 15일까지 약 10일동안 계속된 집중호우와 8월말 제15호 태풍 루사로 발생된 낙동강 하류지역의 홍수는 1959년 사라호 태풍이후 처음있는 대수(大水)라고 지역주민들은 말하고 있다. 그리고 단기간에 내린 비의 양은 사라호 때가 많았지만, 10일 이상의 장기간 강우량은 이번이 더 많았고 낙동강 홍수위는 1959년 사라호때보다 높은 것으로 증언하고 있다. 강우관측 자료나 하천변 시설물 흔적을 살펴보더라도 지역주민들의 증언이 옳다는 짐

      • 기술사 마당 - 소규모 저수지 관리를 위한 제언

        구본충,Koo, Bon-Chung 한국기술사회 2012 技術士 Vol.45 No.4

        농업기반시설인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는 관리주체의 일원화, 전문가 집단에 의한 과학적 관리를 위한 인력양성 및 배치를 통한 선량한 관리체계 확립이 필요하고, 정기적 정밀안전 진단 결과에 의한 보수보강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체계의 시스템화가 요망된다. 특히 정기적인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시설물의 기능성, 안전성 등을 점검 또는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변화된 자연환경에 걸맞는 시설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보수 보강방안을 실시하도록 지속적인 예산지원은 물론 관리주체의 선량한 관리의식이 요망된다. An effective management of reservoir, an agricultural infrastructure, requires an establishment of a good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unification of managing entity; training of manpower and their deployment for scientific management by expert group; carrying out repair / strengthening works based on periodic in-depth inspection results. In particular, continuous budget allocation as well as cultivating good management mind of managing entity are essential for undertaking periodic precise and / or in-depth inspections for assessing the functionality / safety of facilities and proper repair / strengthening works for satisfying the up-to-date facilty standarda and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계획 설계

        구본충 한국기술사회 1995 技術士 Vol.28 No.4

        본 보고서는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에 관한 기술 자료, 문헌의 검토와 각 주별 운송 당국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Truck Escape Ram-ps)이 미국의 고속도로에 채택된 것은 35년의 역사가 있으며 지금은 서부의 산악 지대로부터 에팔라치아까지, LA 교외는 물론 동북부의 조그마한 마을까지 약 27개 주에서 채택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동차의 긴급 피난 차선의 위치는 통상 사고 발생 경위와 기술적인 판단에 따라 선정하였지만 지금은 대형 사고가 발생되기전에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필요성과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범이 도입되고 있다. 방법중에는 경사 평가제(Grade Severity Ra-ting System : GSRS)가 유력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설계법은 지금도 계속적으로 발전 단계에 있으며 현재는 (자갈 제동 노반식 피난 차선)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입자가 둥글고 균일한 입도 분포로서 입경이 13~18mm인 자갈이 회전 저항이 커서 피난 차선의 노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긴급 피난 차선의 길이 결정을 위한 새로운 계산 방법은 공사비 절감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긴급 피난 차선의 목과 종점부의 처리에 관한 설계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각 주별 조사에 의하면 1주일에 I~2회 이상 이용되는 곳이 있으며 자동차의 이용이 적어 4륜 구동 차량의 운전자들이 차를 시험하는 등국도 운전 연습장으로 사용되는 곳도 있었다. 따라서 긴급 피난 차선의 목적 외 사용을 제한하는 안내 표지판의 설치와 규정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내리막길의 정상부에는 미리 안내판을 설치하고 브레이크 점검 구역을 설치해 두면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공공 정펄 매체를 이용한 안내 광고를 함으로써 운전자가 한계 상태에 위치한 자동차의 긴급 피난 차선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적절한 유지 관리는 긴급 피난 차선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사용 후 입도 조정 및 표면 처리(fluffing :부풀림)가 필요하며 설계시나 유지 관리시에 노반의 세립토 제거 작업은 긴급 피난 차선의 수명 연장은 물론 만족할 만한 기능 유지에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현행 시공법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몇 개 분야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단. 예를 들면 비용 편익 분석, 위치 선정 기법 확립, 진입 속도 및 피난 차선 연장의 결정 조건, 골재 기능 평가, 다수 진입로의 필요성, 효과적인 운전자 교육 정책 등이 그것이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은 유용한 시설로 여러곳에서 그 기능이 발휘되고 있으므로 많은 고속도로 관계자들은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 This synthesis has been prepar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on Truck Escape Ramps technology and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by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heir locations have been determined usually from a combination of accident experience and en-gineering judgement, but new tools are emerging that can identify needs and sites without waiting for catastrophic accidents to happen. The Grade Severity Rating Systems holds promise in this regard. Design Procedures for truck excape ramps continue to evolve. Gravel arrester beds are clearly the preferred choice across the country Rounded aggregate, uniformly graded in the approximate size range of 13 to 18mm. Tech-nical publications typically have dassified TER types as paved gravity, sandpile, and ar-rester bed ramps. The design speed for vehicle entry into the ramp in critical to the deter-mination of ramp length. An escape ramp should be designed for a minimum entry speed of 130km/hr, a 145km/hr design being preferred. The ramps should be straight and their angle to the roadway align-ment should be as possible. The grade of truck escape ramps show the adjustment of ramp design to local topography, such as the tradeoff of ramp length against earthwork requirements. A width of 9 to 12m would more safety acommodate two or more outof con-trol vehicles. Reguarding comments on the most effective material, most respondents cited their own specification or referred to single graded, rounded pea gravel. The consensus essentially Is that single graded, well -rounded gravel is the most desirable material for use in arrester beds. The arrester beds should be constructed with a minimum aggregate depth of 30cm. Successful ramps have used depths between 30 and 90c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