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0년 코로나-19 관련 한국 주요 신문에서 방역관련 주요 주제어 분석

        김민영(Min-Young Kim),구보경(Bo-Kyung Gu),윤보라(Bo-Ra Yoon),백진원(Jin-Won Baek),이무식(Moo-Sik Le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6 No.3

        이 연구는 2020년 코로나-19 관련 신문기사를 유행기간에 따른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서 코로나-19관련 방역에 대한 보도의 전체적인 내용과 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2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보수, 중도, 진보 성향의 세가지 신문의 코로나-19 관련 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중 월요일과 목요일의 1면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studio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유행기간에 따른 각 범주별 주제어 언급빈도의 관련성을 카이제곱검정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코로나-19 유행기간별로 한국의 3대 신문의 1면 기사에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비약물적 조치가 54.3%로 가장 많았으며,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31.9% 순이었다. 둘째, 유행기간별 기사의 건수는 제1차 휴지기가 28.5%로 가장 많았고, 비약물적 조치 기사는 제1차 휴지기 30.6%, 3Ts 제1차 유행기 28.6%로 가장 많아 유행기간별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셋째, 비약물적 조치 범주에서 주요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리가 33.9%로 가장 많았으며, 공공시설 제한운영이 17%, 영업제한 14.2%, 마스크와 손씻기 12.3% 등 순이었다. 유행기간별로 비약물적 조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등 범주에서 주요 주제어을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진단검사가 41.8%, 역학조사 및 병상관련이 각각 20.9%였으며, 치료제 및 백신이 16.5% 등 순이었으며, 유행기별로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등 주제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2020년 코로나-19 관련 신문기사를 유행기간에 따른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을 분석한 결과, 비약물적 조치가 가장 많았고, 유행기간별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ain key words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COVID-19 in 2020 for each category of quarantine measures according to the epidemic period of COVID-19. Methods: We analyzed articles related to COVID-19 in three major newspapers of Korea between February 17 and December 31, 2020. We targeted the front page articles on mondays and thursday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key words for each category of quarantine measures,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 were the most common at 54.3%, followed by 3Ts(test, tracing, treatment and vaccine) at 31.9%. In the category of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 social distancing was the most common at 33.9%. In the categories such as 3Ts(test, tracing, treatment) and vaccine, diagnostic tests were the most common at 41.8%. Conclusions: It was identified that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 were the most comm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porting of main key words by category of quarantine measures for each epidemic period related to COVID-19 in 2020.

      • 국내 고위험 유전성 유방암 환자의 유전자검사 경험

        전명희(Jun Myung-Hee),최경숙(Choi Kyung-Sook),안세현(Ahn Sei-Hyun),구보경(Gu Bo-Ky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05 Asian Oncology Nursing Vol.5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obtain a understanding of breast cancer women with high risk for hereditary cancer syndrome. Method: A micro-ethnography was used,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wo major arguments were derived. First, When Korean women at high risk to hereditary breast cancer make a decision about whether to take a genetic test, they are strongly motivated by a desire to preserve close kinship bonds and "family love" among their siblings, parents and children. Second, Even after genetic risk assessment and counseling services, Korean women at high-risk for developing a hereditary breast cancer who have been informed that they are mutation carriers, still hold onto previous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Their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unchanged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Conclusion: More sensitive genetic counseling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Referral programs and clinical services must be attentive to cultural values and beliefs otherwise cultural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 genetic counseling will not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