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구어 중심 활동과 이야기 쓰기 능력의 상관 연구

        김원경(Kim Wongyung),구민지(Koo Minj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변인이 전혀 통제되지 않은 유학생 전용 한국어 수업에서 실시한 다양한 구어 중심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 봄으로써 학부 한국어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수업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유형의 구어 중심 활동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한 실제 수업에서 ‘이야기’ 쓰기로 사전·사후 테스트를 실시하여 본고에서 설정한 평가 준거로 두 명의 평가자가 쓰기 결과물을 채점한 후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 및 과제 수행 영역과 전개 구조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언어 사용 영역에서는 사전 사후 평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집단이 없기 때문에 구어 중심 활동이 ‘이야기’ 쓰기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적어도 중급 수준 이상의 유학생에게서 특정 영역에서의 쓰기 능력 발달을 포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related subjects and the operation of classes in an undergraduate department by identifying how the various spoken language-oriented activities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are not controlled by learners variables.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scoring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pre- and post-testing with writing a “story” in actual classes that were designe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spoken language-oriented activities. The analysis found that whil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content and task performances and of the structure of deploy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post means in the category of language use. The absence of a comparative group does not warrant the development of “story”-writing skills;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e have detected the development of writing skills in certain areas from students of at least an intermediate level, which can be used for developing curricula and conducting lectures.

      • KCI등재후보

        중국 학술지 게재 한국어 교재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마천격(Tiange Ma),구민지(Minji Koo)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4 교양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중 중국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의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학술지 논문의 연구 성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후 선행연구의 분류틀을 참조하여 교재 유형과 연구 목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재 유형 측면에서는 특정 등급을 고려하지 않고 교재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고, 특정 등급에 한정한 연구 중에서는 초급 교재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교재의 학습 목적으로 구분해 보면 모든 연구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집중되어 있으며 교재의 형태에서는 서책형 교재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 측면에서는 교재 개발 및 교재분석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재 평가 및 교재의 일반적인 현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Chinese academic journals that focu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to provide insights fo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in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ndings with those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o achieve this, 37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based on a pre-existing classification framework into textbook type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studies do not consider specific levels when analyzing textbooks, and among those that do,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beginner-level textbooks.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textbooks, all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most of the research was on printed textbooks.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studies on textbook development and analysis are relatively a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