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短縮語形成に影響する音韻的要因について -重子音における有標性を中心に-

        문창윤 ( Moon Chang-yun ),구마가이가쿠지 ( Kumagai Gakuj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6 No.-

        이 논문에서는, 형태소 경계에 위치하는 중자음(촉음)의 유표성이 일본어 단축어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단일어의 경우, 무성저해음 뿐만 아니라 유성저해음도 중자음을 구성할 수 있지만(예:/kjappu/, /heddo/), 접근음은 중자음화되기 어렵다. 한편 복합 단축어의 경우에는, 무성저해음이 가장 많이 중자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예:/nikkado/). 그러나 촉음을 포함하는 복합 단축어의 예가 매우 적고, 복합어를 구성하는 요소에 따라서는 특정한 패턴으로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형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촉음이 단축어에 유지되는 패턴(예:/niQkeru/+/kadomiumu/→/niQkado/, /Q/는 중자음의 첫 번째 요소)과, 촉음 대신 촉음 바로 뒤에 위치한 자립박이 단축어에 포함되는 패턴(예:/neQto/+/geemu/→/netoge/)을 사용하였다. 일본어 모국어 화자에게 가상 복합어와 두 단축 패턴을 제시하고, 단축 시 더욱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패턴을 한 가지만 고르게 하였다. 실험 결과, 무성저해음으로 구성되는 중자음의 허용도는 가장 높은 반면, 접근음은 가장 회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래 일본어의 고유어에만 적용되는 음운 제약이, 화자의 어휘부에 존재하지 않는 외래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자음의 공명도가 높을수록 중자음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유표성 계층(Podesva 2002; Kawahara 2007)이 일본어 단축어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consonant gemination in truncated compounds of Japanese loanwords. In this language, voiced and voiceless obstruent geminates can be observed in lexical simple loanwords (e.g., /kjappu/ ‘cap’, /heddo/ ‘head’), while approximants can hardly be geminated, on the one hand, and truncated compounds allow only voiceless obstruent geminates (e.g., /nikkado/ ‘nickel cádmium’; /wetti/ ‘wet wipes’), on the other hand.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erimentally examine whether voiced obstruent and approximant geminates are less likely to appear than voiceless geminates. There are two main types of truncated patterns of compounds whose first element contains the first part of a geminate in the second-initial mora. The first type contains the first part of the geminate (e.g., /niQkeru/ ‘nickel’ + /kadomiumu/ ‘cádmium’ → /niQkado/ ‘nickel cá dmium’) (‘Q’ represents the first part of the geminates). The second type avoids gemination and instead contains the third mora (e.g., /neQto/ ‘Internet’ + /geemu/ ‘game’ → /netoge/ ‘computer game’). Our experiment prepared twenty-seven new compounds with a nonce word in the first element and a real word in the second one (e.g., /seQtarisu/ + /panorama/ ‘panorama’) and asked thirty-two native speakers of Japanese which of the two patterns (/seQpano/ vs. /setapano/) would be preferred. The results showed that voiceless geminates were the most acceptable, while approximant geminates were the least acceptable, and voiced geminates came in the middle. A possibl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voiceless and voiced obstruents is that the truncation process of loanwords can be affected by the constraint working in native words of Japanese that voiceless obstruents are much more likely to occur than voiced ones.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voiced obstruents and approximants can be accounted for by the markedness hierarchy of sonority in gemination that the higher the sonority i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become a geminate (Podesva 2002; Kawahara 2007). This is why more sonorous consonants (i.e., approximants) were less acceptable than less sonorous ones (i.e., voiced obstru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