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간 강의평가에 대한 온·오프라인 수업 비교분석

        전보라 ( Jeon¸ Bora ),류상현 ( Ryu¸ Sanghyeon ),구경희 ( Ku¸ Kyung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대학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고,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개선방안 및 향후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대학의 2021학년도 1학기에 개설한 454개 과목에 대한 중간 강의평가 22,380건 중 오프라인 수업 107개(6,747건), 온라인 수업 170개(9,412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의 9개 문항과 복수응답 가능 유형 1문항에 대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서술형 주관식 문항으로 수집된 질적 데이터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문항별, 영역별, 교과구분별 중간 강의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수업의 평점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 수업의 긍정요인은 원활한 상호작용,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 학습 참여 촉진 및 동기부여로, 부정요인은 수업환경에 대한 불만족, 수업의 일회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의 긍정요인은 반복학습 가능, 다양한 자원 활용, 부정요인은 불안정한 온라인 학습 환경, 수업 콘텐츠의 질 저하, 수업 집중도 저하로 나타났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유형별 부정요인을 감소할 수 있도록 수업설계 시 긍정요인을 반영한 보완책을 마련해야 하며, 온라인 수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제도적 차원, 교수자 차원에서 수업의 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s of student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following the activation of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ies due to COVID-19, an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classes for each type and future directions of classes. Altogether, 107 offline classes (6,747 cases) and 170 online classes (9,412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22,380 mid-semester evaluations in 454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t A University in Busa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nine questions scor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one multiple choice question.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an essay question were analyzed using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offline classes generally had high ratings in the mid-semester evaluations by question, area, and curriculum classification. Also, the positive factors of offline classe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teraction, use of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promoti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e negatives were dissatisfaction with the class environment and non-repeating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factors of online classes were the possibility of repetitive learning and utilizing various resources, while the negative factors were unstabl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low quality of online class content, and poor concentration. To reduce the negative factors for each class type, countermeasures reflecting the positives factors should be prepared when designing classes. Also, as the proportion of online classes increases, continuing efforts to manage the quality of classes at the institutional and professors level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