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궁원제와 명문기명

        곽희원(Kwak, Heew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명문기명은 소비 및 제작정보를 새긴 것으로 편년과 수급상황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조선후기 명문기명의 확산배경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왕실의 제도와 소비변화를 고찰한 결과, 영조대 궁원제 창시에서 비롯된 제향의 중시 경향이 그 시원으로 추론되었다. 왕실제례가 왕권강화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자 효율적인 제기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수복들의 폐단을 방지하여 연한동안 정결하게 사용하기 위해 1792 년 명문정책이 제도화된 것이었다. 육상궁 등 영·정조대 신설된 궁원의 자기, 금속기, 목기에서는 기록에 나타나는 명문형식이 공통적으로 등장하여 제구류라는 큰 틀에서 함께 관리되었음을 시사하였다. 궁원의 백자, 유기, 목기의 형식을 비교한 결과 첫째, 조선후기 명문기명에 나타나는 한 글자 명문과 구체적인 점각명문은 궁호와 연조명을 시문하는 정책이 적용된 실례로 추론되었다. 한 글자 명문은 사당의 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뒤섞이는 폐단을 막기 위해 소용처를 구분하는 역할이었고, 연조명은 수복들의 방만한 행태를 규찰하여 연한 동안 정결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제도화 직후 소비처와 수량, 날짜뿐만 아니라 무게까지 새겨 최대한 자세히 시문하던 영흥본궁의 초기 연조 형태가 추후 조선후기 궁방 소용기 전반에 적용되면서 변화·확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점각의 특성상 시문시기의 불명확성이 거론되어왔는데 기록과 영흥본궁의 실물비교를 통해 대체로 제작 및 개비 직후에 연조명이 시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연한이 법식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자기가 개비되면서 명문이 새겨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명문의 역할이 왕실 제도안에서 유지되었던 사실은 조선후기 왕실 소비처가 명시된 한글점각 명문기명이 대체로 양질인 것과 부합한다. 셋째, 재질과 기형에 따라 용이한 시문형식과 위치가 채택되었고 관리의 편의성 및 명문의 가독성이 중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상준과 희준, 용준 등에는 적색안료로 동체 한 가운데에 호를 크게 시문하여 명문의 기능과 성격이 철저히 관리의 효율에 있었음을 드러냈다. 또한 명문 표기에 있어서도 한글과 한자가 혼용되는 양상은 명문시문이 엄격히 준수된데 반해 그 형식에 일정한 제재가 없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동일한 명문이 한글과 한자로 병기되거나 한글점각명문이 굽 안바닥 혹은 굽 둘레에 새겨지는 차이에 관해서도 이러한 현상을 대입해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명문은 재질의 차이를 막론하고 관리효율을 높이는데 최종목적이 있었으며 그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기형, 기종, 재질별로 명문의 위치와 재료, 방법 등을 달리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왕실 공예품에 나타나는 명문의 명확한 의미파악과 일정한 기준 성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며, 조선후기 명문기명의 고유한 영역을 재조명한 것에 대해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Inscribed wares are important to the process of collecting records 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The inscribed wares mad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re especially abundant in quantity and also contain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ion, which is highly conducive to gathering information on consump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background of expansion in sacrificial rites, the royal system and its consumption pattern was examined in this paper. In this regard, the court of King Youngjo who started the sacrificial rite of Gungwonje seems to be the origin. The pronounced focus on sacrificial rites was an action meant to reinforce royal strength and with the following increased significance of wares used in the rituals, the management of useful wares became crucial. In order to prevent any missing inventory, the practice of inscribing wares was observed in 1792 and all wares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ceramics, metal, or wood were all inscribed using similar methods. This meant that within the ritual ware management system, all objects were grouped in the same way.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inscriptions three main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inscriptions mad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mainly one-letter words, a year or palace names in the form of dots. One-letter inscribed wares usually indicated the name of a shrine and the inscription was used to classify the function of the ware. Years were inscribed to instill a conscientious effort in the servants to handle the wares with special care. Youngheung Palace was an early example of an organization that adapted the inscribing method for use on its wares. The inscriptions recorded not only the name of the palace but also included quantity, dates and even weight, making up a detailed management system that remained in use by Youngheung Palace up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the difficulty of discerning an accurate date from dotted inscribed wares due to its technical characteristic has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by comparing the quality of the various porcelain used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it is evident that the dotted inscriptions were made after the wares were replaced since the dates and ritual forms were renewed.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each inscription differs in placement according to its size, shape and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legibility. For example, inscriptions on more substantially-sized wares were enlarged to assist in thorough managing. In addition, the simultaneous use of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inscriptions demonstrate the fact that even in a system requiring adherence to strict forms and manners, some flexibility was possible. In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ware’s material, inscriptions were used solely for management purposes and in a rather effective way, differing in relation to the ware’s shape, size and material. Through an analysis of extant records this paper examines ritual wares based on the Gungwon and its inscription management system. Consequently, the expansion of sacrificial rites was revealed and it is hoped tha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standard for future research on royal ritual wares and their inscriptions.

      • KCI등재후보

        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 : <화협옹주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곽희원(Kwak Heewon) 국립고궁박물관 2020 古宮文化 Vol.- No.13

        2015년 발견된 화협옹주묘에서는 전체 49건 93점의 부장품 중 영조가 지은 묘지석과 빗, 먹, 청동거울을 포함한 화장용기 일괄이 출토되었다. 청화백자에는 분, 연지 등으로 추정되는 유기물이 온전하게 남아있어 이들은 같은 시기 왕실무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소형 백자류의 성격을 규명함과 동시에 조선후기 화장문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화협옹주묘 회곽함에 매장되어 있던 백자 화장용기는 12건으로 분원산 1점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중국과 일본에서 제작된 것이다. 얼굴을 곱게 꾸미는 ‘단장’이라는 행위의 성격상 왕실의 화장품을 담는 용기에는 화려하고 정교하기로 이름 높았던 수입 자기들이 선호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수입산 자기가 대다수를 이루는 화장용 자기와 달리 당시 청과 에도시기의 화장법, 화장용기가 다른 점은 조선왕실이 화장문화 전체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닌 수입산 자기의 애호가 화장용기 선택의 근간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The initial tomb of Princess Hwahyeop before its relocation was accidentally discovered in 2015. The burial objects including 49 items of 93 pieces in total were unearthed from the site: the tombstone containing the epitaph written by her father, King Yeongjo (r. 1724-1776), a comb, an ink stick, a bronze handheld mirror and its case, and a set of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Cosmetic residue that was presumed to be powder and cheek rouge, remained intact in a few of the white porcelain containers in underglaze cobalt blue; this becomes a particularly significant reference in clarifying the usage of small-sized white porcelains commonly discovered in royal tombs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royal beauty culture of Joseon. There were 12 types of white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in the lime-soil mixture makeup box found in her tomb; all the other containers, except one that was crafted in one of the official court kilns named bunwon, were produced in either China or Japan. Considering that women i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country would apply their cosmetics with the utmost care, imported porcelains, which were highly reputed for their splendor and refinement, would have very likely been the preferred choice to store their cosmetics in the Joseon court. As such, the majority of the Joseon royal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were imported, but still, one of the interesting facts in this respect is that containers of the same kind and makeup methods in Qing China and Edo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Joseon: this convincingly demonstrates that the Joseon royal women did not accept the entire overseas cosmetics culture as it was, but their penchant for the imported porcelains served as the basis for selecting them to store their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