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베이징 전통주택 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곽청천(Huo, Qingquan),김동찬(Kim, Dongch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본 연구는 중국 전통주택 가로인 베이징 난뤄구샹(南?鼓巷) 호동(胡同)을 대상으로 한국인과 중국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난뤄구샹(南?鼓巷) 호동(胡同)의 경관사진을 촬영하여 각 호동마다 1매씩, 총 16매를 선정하여, 한국인 56명과 중국인 51명을 대상으로 어의구별법(semantic differential)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도에 있어서는 한국인보다 중국인이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사진은 한국인과 중국인 공통적으로 2번으로 나타났으며, 2번에서 긍정적으로 나온 형용사는 “아름다운”, “자연적인”, “안정적인” 이였다. 이것은 전통주택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결과는 각 성분의 요인점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시각적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중국인과 한국인 모두 <복잡성>, <심미성>, <친근성>, <독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전통주택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by using the Chinese traditional residential neighborhoods, Nanluoguxiang Valley, as an objec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people for landscape were comprised.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By means of taking photos for Nanluoguxiang alley landscape, a representative photo was selected for every alley and ultimately 16 typical photos were chose. 56 Korean and 51 Chinese people took part in the survey. Semantic Differential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intention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r alley landscape preferences. Compared to Korean, the preferences for Chinese people are higher. Both Korean and Chinese peopl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 on the second photo. The landscape adjectives including "ugly - beautiful", "artificial ? natural”, "instable ? stable" were contained. These adjectives can roughly reveal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visual perception Image for traditional residential neighborhood landscap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necessary factors and the score of the each compone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visual preference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necessary factor of visual preference, both Korean and Chinese show the same sequence of “complexity”, “aesthetics”, “proximity”, and “uniqueness”. This can be used as the important necessary factor for visual preference of Chinese traditional residential neighborhood landscape.

      • 중국 베이징 전통주택 가로경관의 색채 및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 Sun),김동찬(Kim, Dong Chan),곽청천(Huo, Qingqu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베이징 난뤄구샹(南?鼓巷)은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 주택가로로서 지역의 특성과 내재된 역사·문화 특성이 잘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전통주택가로인 베이징 난뤄구샹(南?鼓巷)을 대상으로 전통주택 가로경관의 색채 분석을 통해 중국 전통주택 가로경관 색채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전통가로경관 계획이나 정비를 시행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뤄구샹(南?鼓巷)의 색상은 다양하지만 N(Neutral)계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색조는 Gr(Grayish)계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저명도·저채도로 이루어져 가로가 딱딱하고 정적인 느낌의 무채색계열로 나타나고 있다. 형용사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딱딱하고 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었으며 중국 베이징은 전통적인 주택가로 옛스러운 분위기와 고유적인 미(美)가 잘 나타났다. 그러나 색채를 남용하고 물체표면이 퇴색된 것은 문제이다.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통주택 가로 경관 색채와 관련 가이드라인이나 유지관리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Nanluoguxiang of Beijing City, which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candidate of traditional Chinese residential blocks, could commendably give an expression of the geographic feature where it specifically located and its inner cultural and historical properti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acts,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Nanluoguxiang of Beijing, one of the most typical traditional Chinese residential blocks. Through the color analysis of our research targ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properties of street landscapes, as well as its questioning problems, were concluded for the first time, which will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and material for the programming and reconditioning of traditional street landscapes in the future. The research has proposed some important conclusions as below: First, although the color system of Nanluoguxiang presents various directions, the N (Neutral) occupies a majority ratio; second, among the whole color tone, the Gr (Grayish) takes great proportion, which means the entire system takes low lightness and low saturation as the principal aspect, and the residential blocks express a hard and static feeling with the colorless series. The adjective images comprehensively have formed a hard and static image, which perfectly reflected the classic beauty, antique flavor and inherent goodliness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blocks in Beijing, China.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misuse and fading of colors have become a serious problem nowadays, to solve which there is emergent necessity of a guide-line coordinated with the traditional residential block colo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