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지역 주거지 출토 심발형토기 연구

        곽명숙 ( Myung Suk Kwak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7 No.-

        심발형토기는 삼국시대 주거지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토되는 취사용기로 편년을 설 정하는 데 좋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단독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시기적·지역적으로도 많은 차이가 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형식변화와 구분에 치중하였고, 형 식설정 또한 2~4형식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필자는 전남지역 삼국시대 주거지 출토 타날문 심발형토기를 대상으로 형식분류하여 토기의 시·공간적 변화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연대와 지역적인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심발형토기는 각 속성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크게 5개 형식, 5개 군집, 4분기로 분류 되었다. 4세기를 기점으로 심발형토기는 경부가 형성되어 ‘C’자형 구연의 강조라는 토기제작의 기술적 요인과 백제문화의 유입이라는 사회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Ⅰ→Ⅴ형식이라는 형 식변화를 거친다. 그리고 취락 내 취사시설의 구조변화로 인해 기능과 용도를 달리하는 심 발형토기 A와 심발형토기 B라는 취사용기의 변화도 확인된다. 이러한 형식변화는 1기(2세 기 후엽), 2기(3세기 전엽~후엽), 3기(4세기 전엽~후엽), 4기(5세기 전엽~6세기 전엽 이 후)로 나눠지고,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발형토기는 시기적으로 일정한 변화양상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지역적으로도 형식 간의 차이를 보인다. 교통로 상의 거점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수계와 반도를 중심으로 14개 지역으로 구분되지만 공통된 기술체계를 기준으로 보면 6개 지역권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특히 영산강 상류의 광주와 남해안의 여수, 광양, 순천은 다양한 형식이 존재해 재지적 성격이 강한 지역임과 동시에 외래적인 요소도 일찍 수용하여 정착시킨 곳으로 판단된다. Although deep-bowl pottery is the most frequently excavated pottery type from dwelling sit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making it easy to identify them chronologically, there is almost no single study which deals with the with huge differences in terms of period or region. The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 on changes in type (2~4 types) and classification. Thus, the researcher extracted attributes of deep-bowl pottery excavated from Jeonnam dwelling site, consisting of form, size, shape and guyeondan (rim edge) shape, in order to attempt type classificati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this pottery type was also attempted by examining its relationship with Jangran type pottery and Siru, which are associated artifact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deep-bowl pottery was able to divide the pottery into deep-bowl pottery and bowl pottery with 5 greater types, and specifically 8 type and 4 phases. The phases are as follows: Phase 1 (late 2nd century), Phase 2 (early ~ late 3rd century), Phase 3 (early ~ late 4th century), and Phase 4 (early 5th century ~ 6th century). From the 4th century, the gyeongbu (neck area) was formed to stress “C” type guyeonbu (rim area). This is identified as the social correlation of the technical factors of pottery production and the introduction of Baekje cultur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ypes change from Type Ⅰ → Type Ⅴ, and temporal and spatial development in the Phase 4 were observed. And, regarding the change in cooking facilities, it seems that the change of cooking facilities brought about changein the deep-bowl and bowl. Together, it is surmised that significant social facto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culture also played a prat. In addition, bowl pottery could be divided into 14 regional area in terms of water systems within the peninsula that might have played a hub role in the traffic route. But, if regional areas considered focusing on common technical systems, it can be divided into 6 areas. In particular, Gwangju at the upper reaches of the Youngsan River, Yeosu, Gwangyang and Suncheon in the southern coast showed different types. Thus,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apid localization of foreign factors is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