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신부전의 빈혈치료에 저용량의 피하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의 임상사용에 대한 연구

        김충현 ( Kim Chung Hyeon ),이준승 ( Lee Jun Seung ),곽귀철 ( Gwag Gwi Cheol ),송정수 ( Song Jeong Su ),강응택 ( Kang Eung Taeg ),유석희 ( Yu Seog Hui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만성 신부전의 빈혈은 여러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나 erythropoietin의 생성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다.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이 개발된 이후 만성 신부전의 빈혈 치료에 있어서 rHuEPO의 효과는 이미 널리 입증 되었으나 이제까지의 높은 목표 적혈구 용적치로는 대용량의 rHuEPO의 투여가 필요하였고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큰 제한요소이었다. 방법 : 이에 저자등은 목표 적혈구 용적치 25%를 설정하고 저용량의 rHuEPO의 피하주사로(25IU/체중 Kg, 주 2회) 수혈없이 이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결과 : 남자 10명, 여자 5명 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49세 이었고 혈액투석 기간은 33개월(범위 : 10~70), rHuEPO 투여기간은 8개월(범위 : 4~12)이었다. 연구기간중 수혈을 필요로 하는 환자는 1예도 없었으며 적혈구 용적치는 rHuEPO 투여전 평균 19.2%에서 투여 2주 후 부터 유의한 증가를 보이기 시작하여 4주에 20.2%, 6주 21.3%, 8주 21.5%, 10주 23.3%, 12주 23.4%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16주에 25.0%로 최고치에 도달하여 6개월, 9개월, 12개월에 각각 23.6%, 23.1%, 24.3%로 적혈구 용적치의 증가가 유지되었다(p<0.05). 혈색소치의 변화는 투여전 6.4g/dl, 투여 2주후에 6.5g/dl, 4주 6.7g/dl, 6주 6.5g/dl, 8wn 7.4g/dl, 10주 7.9g/dl로 16주에 8.1d/dl로 역시 최고치에 도달하여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에 각각 7.3g/dl, 8.0g/dl, 8.2g/dl으로 지속적으로 혈색소치의 증가가 유지 되었다. rHuEPO 투여부위의 지속적인 통증이나 혈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BUN, 혈청 creatinine, potassium, phosphate치, 혈압의 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rHuEPO 투여중 대간질 발작이나 동정맥루의 혈전형성등 부작용이 생긴 경우는 없었고 동량의 heparin 투여로 투석막의 응고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rHuEPO 투여후 신체적, 정신적상태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소량의 (25U/Kg, 주 2회) rHuEPO 피하주사로 rHuEPO 투여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도 만족할 만한 빈혈교정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causes of anemia in chronic renal failure are multifactorial. Most of all, a relative deficiency of erythropoietin has been known as the major reason for the renal anemia.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HuEPO), given intravenously, increases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in many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However, resulting cost has been the most limiting factor of the use of rHuEPO in developing countries. Methods: We studied to evaluate whether low dose subcutaneous rHuEPO (25 unit/kg of body weight, twice a week) is effective and safe for maintance of Hct 25% without transfusion. Results: Fifteen patients were studied (Men: 10, Women: 5, Mean age: 49 years) and their mean durtion of hemodialysis was 33 month (range: 10~70 months), and duration of rHuEPO treatment was 8 month in average (range 4~12 months). Baseline mean Hct value was 19.2% and mean Hc value increased to 20.2% at 4 week after rHuEPO treatment. Hct were increased to 24%, 23.6%, 23.1% and 24.3% (p<0.05) after 3, 6, 9 and 12 months of rHuEPO treatment. Hgb were also increased from 6.4 g/dl to 7.3 g/dl, 8.0 g/dl, 8.1 g/dl and 8.2 g/dl after 3, 6, 9 and 12 months of rHuEPO treatment. Transfusion was not required in any patients. There were no sustanined pain or hematoma on injection site. The changes in BUN, serum creatinine, potassium, phosphate and blood pressu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rHuEPO treatment. Thrombosis in vascular access and clotting of dialyzer membrance were not occured in any patients.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also improved in 7 patients who replyed to the questionnair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cutaneous injection of low dose rHuEPO(25 unit/kg of body weight) is effective and safe method for anemia management in chronic renal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