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 아카이브(Labor Archives) 설립 환경에 관한 연구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20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are primitive. First, there is no good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 At this research, I found it that most regulations of the labor unions were all the same. I think they have been copied a kind of one of originality. Second, the definition of records were very narrow, like documentary evidence. Third, the classification, filing, disposal regulations are the below level of the public institution in 1970s. Fourth, there are no standards of the records scheduling for the labor records. What kind of labor records have the historical values? I could not find, only the documentary evidence value. So, I think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are primitive. I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the Southern Labor Archives in USA. There were many kind of records. For example, the records of regional labor unions also central labor unions, pamphlets, journals, photos, personal records, oral history, organizational records like protocols․article of associations․internal rules, minute books etc. Like this the collections of the Southern Labor Archives in USA are very various. But our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is far from that. Rather, we just have tried collected records for publishing the white papers. But this habitual practice would not be desirable. Because they must manage the records from the producing time. Mostly, 'laborer history HANNAE' were organised, and they are trying the collecting and management of the labor records. Also They are trying the computerizing, compilation. 'HANNAE' has the condi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labor archives. But if they want to be really, they must make the records management infra and so, should normalize the record management firstly. For example, They must be keep the standardized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records scheduling redesigned. the developing standard model for the records management. And they have the vision for the hub of the labor archives. When coming to this, it will be realized the labor archives Now the records for the working class are disappearing. The managing the records for the labor is another labor movement. All together should join it. But I think the supporting of the archival science research colleagues will be the essential part.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전투적’ 노동운동은 노동계급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다. 그러나 한국 현대 노동운동의 역사를 재현하는 것은 간단치 않은 일이다. 그동안 노동계급 주체의 기록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현실은 제대로 된 기록관리 규정이 없는 사실로도 입증된다.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관련 규정은 ‘조선총독부 처무규정’과 마찬가지로 ‘처무규정’의 이름으로도 존재한다. 노동조합에서 기록은 증빙기록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의 분류 ә 편철 ․ 폐기 등은 1970년대 ‘정부공문서’ 규정과 같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규정은 ‘원시적’이다. 노동조합의 기록 보존기간 책정 기준은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영구 기록 선별 기준도 기본적인 문서 또는 이에 준하는 문서라는 규정에 의지하고 있으며, 거의 증빙기록 중심이다. 다분히 자의적이고 추상적이다.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잔존기록은 매우 분절적으로 존재한다. 단체교섭 업무를 계획수립, 조사활동, 단체교섭 요구서 작성․의견수렴 활동, 요구안 제출․선전, 교섭, 타결 후 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잔존기록을 살펴보았지만, 단위사업장 기록은 일부만 남아 있다. 교육 관련 기록, 대의원대회 기록 또한 마찬가지이다. 업무 과정과 결과 전체를 재현할 수 있는 기록 시리즈는 거의 없다. 이러한 점은 미국 남부 노동 아카이브 컬렉션들과 비교하면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남부 노동 아카이브 기록들은 지역 노동조합․중앙의 집행 조직과 관계된 지역의 기록은 물론이고, 팸플릿․잡지․사진․개인 기록․구술 기록, 협정서․정관․내규 등의 조직 기록, 총회 의사록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결국 백서 발간 준비 시점에 이르러서야 기록을 수집하는 현상은 현재의 노동조합에서도 여전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기록을 생산하는 시점부터 기록을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이 시급히 노동조합에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노동운동 기록의 수집과 관리 등을 사업으로 설정한 ‘노동자역사 한내’가 조직되어 기록의 전산화와 편찬사업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내’는 한국 사회에서 노동 아카이브로 전환될 수 있는 일정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전환의 문제만은 아니다. 노동 아카이브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연대와 실천을 통해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기반을 만들고 정상화 시켜야 한다. ‘노동조합 표준 기록관리 규정’의 보급, 보유일정표 재설계,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모형 개발 등 기록관리의 기초적인 활동을 사업의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기록의 공유를 통한 연대와 소통을 위해 노동 아카이브 허브 기관의 역할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할 때 노동 아카이브 설립은 현실화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 '국가기록원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Law on the National Archives ofKorea’ should be to secure the accountability and to shape up theimproved governance system in the field of records and archivalmanagem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democracy inrecords management and eventually to the widening of the democraticprogres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above recognition and by way ofnotion called ‘horizontal accountability’, this paper suggests the way tosecur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independency. And the way toreorganize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Committee based on thepluralism and the ‘multi-layered’ governance system is also investigated.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suggested law should be for theautonomy and transparency i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Korea. This paper tries drawbacks and limitations of the ‘Bill on the NationalArchives of Korea’ introduced to the National Assembly last year, andsuggests the alternatives as wel lto get further forward with relateddiscussion. ‘국가기록원법안’ 제정의 목적은 설명책임성의 확보와 거버넌스 체계의 구체화를 통해 기록관리의 민주성을 강화하고, 나아가한국의 민주주의 제도가 진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본고는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수평적 설명책임성’을 바탕으로 한국가기록원의 독립성 강화 방안, 다원주의와 ‘다층적’ 거버넌스체계에 기반 한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재조직 방향, 자율성과 투명성의 확대를 통한 국가기록원 운영 원칙이 ‘국가기록원법안’의 주요 골자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2013년 국회에 제출된 ‘국가기록원법안’의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여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방안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2

        It is well known that records management is closely related to democracy, and the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in Korea did also aim to reach democratic ‘accountability’ and ‘governance’. Likewise, the first reas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archival community in the East Asia is to help promote democracy and form a co-operative relations in the region through records management. Secondly, the distorted view of history easily found in the history textbooks of each countries should be corrected for the 21st East Asia in peace. Records and memories in the past are main components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A great many records to solve the disputes over history still remains inaccessible at large in the archives of the East Asia. A coming archival community will endeavor to disclose and share the historical records for harmonious awareness of history.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thin archival community in the East Asia featuring democratic accountability, governance and more records disclosure can be a brand-new start for peace and ‘better’ democracy in his region. 21세기 동아시아의 ‘화해와 평화’는 역사적 과제이다. 기록공동체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해야 하며, 문제의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동아시아 담론’의 연장선상에서 기록학계의 과제를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문제로 설정하고, 그 필요성과 형성 방향, 프로세스 등을 살펴보았다. ‘민주적인 책임’과 거버넌스를 매개로 한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과정은 그 자체가 각국 내부의 기록관리 민주화 과정이기도 하다. 비공개 기록의 공개, 상호 작용을 통한 ‘민주적’ 아카이브로의 변화, 이를 바탕으로 한 왜곡된 과거사 청산 등은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이 필요한 분명한 이유이다.

      • KCI등재

        문화유산기관의 발전 전략 비교 연구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기록관·도서관·박물관 등 문화유산기관의 중장기 발전 전략은 이들 기관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가 대표 문화유산기관의 발전 전략 추진 배경, 추진과제 등을 비교 분석하고, 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아울러 문화유산기관의 낮은 위상으로부터 비롯된 발전 전략의 한계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유산기관의 협력을 위해서는 독자적 발전 전략을 폐기하고, 공동 발전 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medium and long term pl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cooperation between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comparatively the development strategies’ backgrounds and tasks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ultural institutions, with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strategies caused by their low stature are also presented in the paper. Accordingly this paper put emphasis on the changeover from separate and individual development strategy to joint and collaborative one for the cooperation between cultural institutions.

      • KCI등재

        1960년대 대통령기록 분석 -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5

        The National Archives’s presidential records in 1960s are neither complete nor accurate. However these records are worth enough to researchers as a source of the main policy stream and informations of the time. In the past, the catalog of National Archives only contained simple record information without the analysis of content. Therefore this article designed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analysis of presidential records in economic sector. The distribution aspect of the subject record type is the clue to understand the main project of presidential secretary in 1960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lso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of record such as the character, association, location invigorate the collection of record and its use to related organizations.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1960년대 대통령기록은 ‘완전하고정확한’ 기록이 아니다. 그러나 그 기록들에는 주요 정책의 흐름과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이 충분히 이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과거 국가기록원에서 발간한 목록집은내용 분석 없이 간단한 기록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고는 1960년대 경제 분야 대통령기록의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주제별 분류체계를 설계하고 기록 유형을 파악하였다. 주제별 기록 유형의 분포 양상은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 나타난 대통령비서실의 주요 과제를 이해하는 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내용에 포함된 인물·단체·장소 등의 정보는 관련 기관의 기록 수집과 이용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록관 체제 재검토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7

        Despite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effect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 various achievements of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made by the former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in Korea still remains unsatisfactory in many fields. Especially one of the main concerns is about the records centers in the public offices failed to work efficiently. There remains lots of so-called ancient regime elements in the records center system, which causes the lack of stability. Divisions of general affairs in the public offices had played main role in records management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their role was limited to take over some records created and to manage the poor stack room. According 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revised in 2007, data center was renamed to records center and it was obliged to place records center under the office of planning management or the office of administration. But records centers have been nevertheless operated at a very formal level in most public offices. It is the real state of affairs that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terconnecting records office, records center and archives is not achieved. Why is it? This article is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attempt to find out on the inner causes such as structure of records center,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 records management methodology, and above all historical background. In addition, it put stress on the necessity of definite separation between records office and records center and assurance of independent operation of records center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of methodology including records management process is also of great importance. And the standard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business of the records center is suggested as one of the main tasks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ion of 'best practice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cooperation with the records management community. 한국에서 기록관리법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한국의 국가기록관리는 저발전 상태에 있다. 비록 참여정부에서 ‘국가 기록관리 혁신’을 추진하여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특히 기록관이 실질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사례를 찾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의 기록관 구조는 구제도적 요소가 강하게 잔존하고 있는 불안정한 체제이기 때문이다. 정부 수립 이후 50여 년 동안 공공기관에서 기록관리 업무는 문서과 역할을 담당했던 총무과가 담당하였고, 그것은 주로 처리과에서 생산된 일부 기록에 대한 인수와 서고관리에 한정되었다. 2007년 개정 기록관리법에서 자료관을 기록관으로 그 명칭을 변경하고, ‘기획관리 부서 또는 총무부서’에 기록관을 설치하도록 규정했으나, 대부분의 기관이 여전히 총무부서 내에 문서과와 기록관을 편제하여 종전과 같이 형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기록관리법이 시행된 지 10년이 되었지만, ‘문서과(Records Office)―기록관(Records Center)―보존기록관(Archives)’ 체제로 이어지는 전문화된 기록관리 체계는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원인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 근원을 기록관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 즉 역사적 배경을 비롯해서 기록관 구조, 기록 전문직, 기록관리 방법론 등 기록관 체제의 내적 구조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 했다. 아울러 기록관 체제의 정상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기록관 체제를 문서과와 기록관으로 명확하게 분리하여 기록관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기록관리 프로세스를 비롯한 방법론의 전문화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외적으로는 기록공동체의 연대와 협력을 바탕으로 ‘최선의 기록관리 실무’를 축적하여 기록관의 기록관리 업무를 표준화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설정하였다.

      • KCI등재

        노동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연구: 지방고용노동청을 중심으로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The Agency of Employment and Labor produces various records that are related to labor history subject while performing its functions such as labor supervision. Some valuable records were discarded even if they are worthy enough to be research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u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classifying the main subjects and the main agents of an action in view of macrohistory and microhistory. Some examples of the records that require prolonged preservation were also presented by each issue. Furthermore, this article proposes a dramatic improvement of the records schedule. It also presents other issues as the foundation of the valuation standard based on the subject including the conversion of the strategy of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that combines the function and the subject. 지방고용노동청은 근로감독 등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노동사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생산한다. 그러나 노동사 관점에서 연구에활용될 가치가 충분한 기록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거시사와 미시사를 고려한 노동사 관점에서 주요 주제와 행위주체를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별로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기록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기록관리기준표의 획기적 개선을 통한 기록 보존기간의 과학화, 연구가치 관점의 ‘주제 기반 평가 가이드라인’ 등 주제 기반 평가 기준 구축, 기능과주제를 결합한 기록 평가·선별 전략으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해체와 재구성’ 차기 정부의 역사·기록 분야 조직 개혁 방향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2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history and archives to control preproduction of records and their production sphere. Moreover, it should also manage all kinds of archives and presidential records as its function is to manage and share public information, and carry out compilations of historical records. With this, this study explains how having all these functions would make the ideal re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It should correspond to principle of Government’s reorganization such as transparency,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A plan for reformation needs two-track approach. I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National Archives’ or the ‘National Memory Committee’ at the organization that is in charge of national records and memory management. It means that the National memory isn’t limited to public sphere. In terms of Total archives, the organizations should contain the whole community’s memory. This organization should be formed independently. 역사·기록 분야 정부조직은 기록 생산 이전과 생산 영역을 통제할 수있어야 하며, 모든 유형의 기록과 대통령기록·비밀기록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공정보의 관리와 공개 등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아울러 역사기록의 편찬 등도 수행해야 한다. 곧 이상적인 조직 재구성 방향은정보 관리와 공개, 기록관리, 기록 편찬, 기억의 영역까지 포괄하는 것이라할 수 있다. 조직 개혁 방안은 열린 정부·투명성·책임성 등의 정부조직개편 원칙에 부합해야 한다. 조직 개혁 방안은 ‘두 길 보기’라는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국가 기록과 기억 관리를 담당하는 기구로 「국가기록처」 또는「국가기억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가 기억의 범위를 공공영역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total archives’ 관점에서 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안이다. 이 기구는 독립성이 보장되는 형태로 조직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현대사 연구에서 아카이브의 이용: 1970년대를 중심으로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5

        This article analyzes the cited archives in the research on modern Korean history in the 1970s. The research contains the condition of the citation and the categorization of cited archives by types and topics. The utilization of the archives was insufficient among the entire records, and the citation method was inconsistent. An analysis of archives utilization related to research on modern history should be systematic. The archives should build a database according to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records collection, and archives recollection. Providing the records for the research on modern Korean history is also necessary. 이 글은 아카이브 이용에 대한 조사를 위해 1970년대 한국현대사 연구에인용된 기록을 분석하였다. 인용된 기록을 유형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인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기록 가운데 아카이브 이용은 미흡하였으며, 기록인용 방법도 제각각이었다. 향후 아카이브에서 한국현대사 연구와 관련된 기록의 이용 분석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아카이브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기록 평가·선별, 기록 수집, 기록 재조직 방향 등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축적하는 것은 물론 한국현대사 연구에 필요한 기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현대사 연구에서 아카이브의 이용1970년대를 중심으로

        곽건홍,Kwak, kun-hong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5

        이 글은 아카이브 이용에 대한 조사를 위해 1970년대 한국현대사 연구에 인용된 기록을 분석하였다. 인용된 기록을 유형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인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기록 가운데 아카이브 이용은 미흡하였으며, 기록 인용 방법도 제각각이었다. 향후 아카이브에서 한국현대사 연구와 관련된 기 록의 이용 분석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아카이브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기록 평가·선별, 기록 수집, 기록 재조직 방향 등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 축적하는 것은 물론 한국현대사 연구에 필요한 기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ited archives in the research on modern Korean history in the 1970s. The research contains the condition of the citation and the categorization of cited archives by types and topics. The utilization of the archives was insufficient among the entire records, and the citation method was inconsistent. An analysis of archives utilization related to research on modern history should be systematic. The archives should build a database according to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records collection, and archives recollection. Providing the records for the research on modern Korean history is also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