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트위터 프로필 사진의 유형과 타임라인 메시지 유형이 트위터 계정소유자 (TAO)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 트위터 계정 소유자(TAO)의 온라인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 요소와 인상 형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

        전대원(Daewon Jeon),강미리(Miri Kang),공혜진(Hyejin Kong),구유리(Yoori Gu),진민수(Minsoo Jin),김주환(Joohan Kim)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As communication through the social media has been increasing, impression formation on the social media becomes more important.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the experiment to know how two self-presentation elements such as the profile picture and the timeline message could build the impression of Twitter Account Owner(TAO) on twitter space. That is, when TAO forms the main page of twitter, how the variables of the self-presentation elements like the formal picture or the natural picture and the informative message or the private message could differently influence the subjects who evaluate the impression of TAO such as credibility and likability. And we also measured the subject's intention whether or not they intend to develop their relationship on online and offline each. In result, the informative message got more credibility than the private message, and the natural picture got more likability than the formal picture. The informative message with the formal picture got the highest credibility, and the private message with the natural picture got the highest likability. Finally, we figure out that TAOs could build their impression on online the way they would like to.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늘어나면서 소셜미디어에서의 인상형성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프로필 사진의 유형과 타임라인 메시지 유형이 트위터 계정소유자(TAO)의 인상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즉, 온라인상에서 TAO의 메인화면을 구성할 때 격식적 사진과 비격식적 사진, 정보적 메시지와 일상적 메시지 등 각각의 유형에 따라 피험자가 느끼는 신뢰도나 호감도 등의 인상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더 나아가 온·오프라인으로 각각 관계를 발전시킬 의향 역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시지 유형이 정보적 메시지일 경우, 일상적인 메시지일 경우보다 TAO의 신뢰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온라인 안에서의 관계 형성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필 사진이 비격식적인 사진일 때가 격식적인 사진일 때보다 TAO의 호감도를 높여주었다. 정보적 메시지와 격식적 사진이 함께 제시 되었을 때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일상적 메시지와 비격식적 사진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신뢰도는 가장 낮은 반면 호감도는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소셜미디어에서의 인상형성을 TAO가 원하는 양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