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차철욱(Chulwook Cha),공윤경(yoonkyung Kong),차윤정(Yunjung Cha)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본 연구는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정을 통해 공간과 문화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곳은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던 곳으로, 산(生)사람의 삶터가 아니라 죽은 자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삶터를 잃은 피난민이나 철거와 화재 등으로 쫓겨 온 이주민들이 죽은 자의 공간으로 모여들어 아미동 산동네를 만들었다. 산복도로보다 높은 해발 1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한 아미동은 천막에서 시작하여 현재 판잣집, 슬레이트집, 조적조(양옥) 주택까지 다양한 주거형태가 공존하고 있다. 가파른 경사지에 주택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열악한 주거환경을 보이고 있다. 문화적 변화를 언어를 중심으로 살핀 결과, 출신지의 언어적 특성은 흔적으로만 남아 있고 대부분의 언어는 부산 지역어로 동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동화 현상의 원인은 역사.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되어 공동묘지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이주민의 삶과 소통을 단절시킬 수밖에 없었던 공간적 특징, 그리고 서로를 소외시켰던 이주민들 간의 의식 등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changing of space and culture through a formation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Where it was a Japanese cemetery and crematory, not only living space for alive people but also death space for dead people. However, the people, evacuees by Korean war and immigrants by demolitions and fires and so on, had come to space of death people and have built UP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In Ah-mi dong, where it lies in hill side various housing modalities coexist from tents and Plank houses to slate-roofed houses and Masonry houses. As the housing in this area close roof by roof in steep incline, therefore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ferior. As a result of analysing cultural changes centered on language, linguistic characteristics by one’s native places remain only traces, while most languages assimilate with Pusan area language. The reason the assimilation happen seems like lives of settlers who did not have any other choices, shunned from other socio-culturally and historically, spatial features that could not help shunning with communication from outside and awareness between settlers who were shunned each other.

      • KCI등재

        1950-60년대 대중가요 속의 부산 장소성

        차철욱(Chulwook Cha),공윤경(Yoonkyung Kong),손영삼(Youngsam S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2

        부산 관련 노래를 불렀을 사람들은 부산의 특정 장소를 어떻게 이해하고 느끼고 있었을까? 노랫말에 묻어 있는 부산 관련 지명과 그 의미를 통해 부산 사람들이나, 아니면 부산 이외의 사람들이 부산을 바라보았던 느낌을 정리해 보고자 했다. 한국전쟁과 1960년대 수출중심정책이 국가의 현안이던 시절, 부산을 노래한 노랫말에는 국가적인 이해관계와 부산 사람들의 자기 장소를 표현하려는 애정도 모두 녹아있었다. 대중가요로 불러진 부산 노랫말은 대부분 이별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항구의 특성상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장소적인 특징 때문이었다. 이별은 한국전쟁 때 부모형제, 연인, 해양산업의 성장과 함께한 마도로스와 부산 아가씨들과의 이별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대중가요를 불렀던 피난민들이나 근대화의 환상에 빠져 부산으로 몰려들었던 사람들도 점차 부산 사람이 되었다. 영도다리, 남포동, 부산항, 용두산이 이별의 슬픔을 달래주고, 마음속에 그리는 고향이나 연인에게로 다가갈 수 있는 소통의 장소로 친숙해져 갔다. 그리고 끊임없이 왕래하는 부산항의 역동적인 모습을 노래하면서 부산이 지닌 역동성이나 개방성을 체험할 수 있었다. How do the people who sing songs relate with Busan understand and feel about specific places in Busan? This study try to seek how both people in Busan and in other places have had feeling about Busan. When Korean government deals with the issues which is Korean war, focuses on imports in 1960s, lyrics of songs for Busan have contained not only interests of nations but also affection of Busan people about their own local. Most of the lyrics of pop-songs for Busan are about parting. Because Busan have had characteristic of port area where people came one day and left next day. The parting was done generally between one and parents or and brothers and sisters during Korea war, sailors and Busan girls who were growing with developments of the sea industry. All the displaced peoples sang pop-song and crowded into Busan having dreams of modernization, had been become Busan people. The places where people drown their sorrows, missed their hometown and close to lover, Yeong-do bridge, Nampo-dong, Yongdusan and Haeundae, have become acquainted to people in Busan as mutual understanding places. And singing dynamic side of Busan port, people have been experiencing dynamic and open aspects of Bu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