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차문제 해소를 위한 공유주차장 최대효과지 분석

        이원기,공용래,권재현,김진,김현호,조윤숙,이종필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2

        최근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주차문제 등의 지역현안 문제 해결을 위하여 공유경제 모델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확보하기 위한 공간정보 기반의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일대를 대상으로 주차수급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유주차 활성화를 위한 최대효과지 분석을 통해 공유주차 최대효과지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공유주차 최대효과지로 도출된 4개 구역에서 전체적으로 주차수급률이 상승하였으며, 불법주차율 및 불법주차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주차 문제의 해소와 효과적인 주차 정책 수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efforts for the introduction of Sharing Economy have been increasing to resolve the regional pending issues such as parking problems in the public sectors. In this process a systematic analysi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s required to make use effectively and secure the parking lot.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ducting maximum effect area analysis using the parking supply and demand survey data, a maximum effect area has been presented in the area of Gyeonggi-do, Yongin-si, Cheoin-gu.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parking supply and demand increased in the presented maximum effect shared parking 4 areas and the ratio of illegal parking and number of cars de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for resolving a regional parking problems and formulating an effective park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