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고홍규(Koh Hong 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고찰하여 보고 다문화 미술교육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서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비판적 시각들을 종합하여 보고 그 의미와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국의 다문화 담론은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에서 서구 중심의 담론이 주를 이루며 한국 사회의 독특한 특성과 폭넓은 다문화 스펙트럼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다문화 정책이 주로 결혼이주자와 그 가족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지며 실질적으로 동화주의적 접근을 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차이를 인정하는 차원에서 다문화 논의가 이루어져 인권과 평등, 사회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다문화 담론의 궁극적인 목표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점이 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 미술교육 논의에 있어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한국 사회의 특성과 체질에 맞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내재된 동화주의적 관점의 탈피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목적과 교육대상, 내용을 명확히 하여야 하고, 다문화 미술교육의 궁극적 가치 실현을 위해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 이후로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연구와 교육적 실천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종합하여 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그동안 다문화 미술교육자들의 노력이 현재 어떠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또 어떠한 방향으로 더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조언이 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gure out its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at, I examined numerous research o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their critical features. Consequently I found that critical discourses abou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can fall into three categories; its detachment of discourses from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its immanent approach to assimilation, and its disconnection from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In the perspective of these critical view point, I provided three meanings for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irst, discourses of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ies. Second,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redirect from immanent assimilation to multiculturalism. Last, Korea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pursue fundamental purpos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social justices beyond educat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 KCI등재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의 의의에 관한 연구

        손혜린(Son, Hye Rin),고홍규(Koh, Hong 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본 연구는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의 의의를 정립함으로써 일반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된 질적 연구이다.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해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의 개념과 의의에 대해 고찰한 결과,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을 통해 디자인이 학생들에게 삶으로서 다가갈 수 있다는 점, 또래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점, 교사가 과정 중심 학습 촉진자의 역할로서 수업을 이끌어 간다는 점을 그 의의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의 의의를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서울동답초등학교에서 진행된 ʻ잘 노는 우리학교만들기ʼ 프로젝트를 관찰 및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수업을 관찰하며 얻은 전사 자료를 개방 코딩, 축 코딩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ʻ삶으로서의 디자인ʼ, ʻ또래와의 상호작용ʼ, ʻ과정 중심 학습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ʼ 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과정 중심 디자인 교육의 교육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자인 교육의 과정 중심적인 측면을 체계화하여 일반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그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sence of education of design as general education by establishing significance of process-based design education and to help setting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in education field. The concept and meaning of process-based design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e researcher found out the meaning that process-based design education can approach students to as a life, active interaction with peers, and that the teacher leads the class as a role of facilitator of process-based learning. As an example of the meaning of this process-based design education, the researcher observ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ject ʻMaking Our School Enjoyableʼ. After observing,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ranscription data of the class through open coding and axis coding method. As a resul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ocess-based design education were ʻdesign as lifeʼ, ʻinteraction with peersʼ, and ʻprocess-based learning, the role of teachers as facilitatorsʼ. The result of this study systematically focused on the process-based aspect of design education and examines the essence of design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a basis for searching for the direction in education field through this.

      • KCI등재

        미술문화이해능력 함양을 위한 ‘여.문.다. 프로젝트’ 실행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이소정(Lee, So Jeong),고홍규(Koh, Hong 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4

        본 연구는 초등 미술 교과에서 미술문화이해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적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실행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탐색을 통해 미술문화이해능력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술문화이해능력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된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연계된 미술 교과 특유의 교과역량이다. 이는 다양한 미술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심미적 감성역량을 바탕으로 공동체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역량이 동시에 함양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 이해에 의해 ‘사회 문제들에 대해 SNS 미술 활동을 통해 알리기’라는 주제의 프로젝트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의 실행 결과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 문화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이해의 확장, 미술 문화 속에서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활용하여 표현하고 소통하는 기능 신장, 그리고 미술 문화의 가치를 내면화 및 미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 등 미술문화이해능력의 지식, 기능, 가치태도적인 요소들이 함양되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art-cultural competencies, develop an art project and run it in real classroom,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in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hose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al practice in real classroom. As a kind of competencies, art-cultural competency ha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s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omponents of art-cultural competency are as follows: ‘practical knowledge gained by participating in art cultural activities’, ‘communication skills using appropriate media and technology in art culture’, ‘values and attitudes enjoying and participating in ar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competency should be raised with practical experiences and integrated curriculum reflecting aspects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concept and educational strategies of art-cultural competency explor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rt project class with the theme of “Telling Social Issues in SNS Art Activities” was planned and applied to real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 classes, improvement of components of art-cultural competency was observed. The observed changes are as follows: 1)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values and roles of art culture, 2) developed skills to express and communicate using various media and methods in art culture, 3) internalized the values of art and positive attitudes formed toward art.

      • KCI등재

        한국의 미술대학 회화과의 성립과 현행 교과과정 분석

        김형숙(Kim Hyung-Sook),고홍규(Koh Hong-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1

          한국의 미술교육에서 고등교육에 관한 논의는 질적·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특히 대학의 회화과에 관한 논의는 매우 드물며 그동안 기초조사 없는 피상적인 논의의 성격이 강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으로 논의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회화과의 설립과정을 개괄한 후 현재 회화과를 설치하고 있는 각 대학의 2005학년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육목표, 학점 구성, 교과목 편성 구조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해방 이후 시작된 한국의 대학미술교육은 근대화 과정에서 보편적 합의를 이루지 못한 학과명의 사용으로 인한 학과 개념의 혼란과, 특성 없이 천편일률적인 교육목표와 교과목 구성 등의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해외의 유수한 미술학교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Previous studies of visu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in Korea were sufficient neither in quality nor quantity and not supported by basic research. This paper have therefo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llective educational programs in visual arts departm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redit-distribution ratios as well as the course arrangements present in the curriculum. Preceding an in-depth discussion of these questions, the current state of visual-arts departments in Korea is addressed by way of an examination of their development. Analyses of these curricula are presented in three sections: educational goals, minimum credit requirements for graduating majors, and course arrangement. Cases from ten different colleges in United States and Japan are utilized in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has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confusion of definitions among majors, the educational goals and course arrangements that are not reflect the philosophy of each universities and monotonous, and others.

      • KCI등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윤지영(Yoon, Jee Young),고홍규(Koh, Hong 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further denoted as MMCA) is the only museum and social institution funded by the nation; it also provides a variety of participation-based programs for visitors. Along with MMCA, the number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thus the need in further research of not only their expansion, but also their effectiveness. The modern education system of museums - rather than simply offering a one-sided appreciation for artworks,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participation-based program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MMCA advancing in its methods through research and application of efficient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it will better reveal solutions for its educational dilemma. Through professional consultations and the solving of problems, the intentions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will be reflected. The study analyzed both the elements of success and failure in performance indicators at MMCA’s long-held data of adolescent museum education. Thus,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adolescents’ art education in museums – for the advanc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in museums. 본 연구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사업의 평가를 위해 구체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미술관 교육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평가가 정량적 현황 파악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성과지표를 보완할 수 있도록 정성적 평가 위주의 질적 성과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다각적인 평가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학교연계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청소년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찾아가는 미술관교육>, <MMCA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의 사업 평가와 그에 따른 구체화된 성과지표를 적용해보았다. 미술관 교육 성과지표 마련에 관한 성공 사례 및 실패 요인들을 통하여 분석된 시사점은 향후 미술관 교육의 질적인 향상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