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기질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정체성 차이

        강효정 ( Hyocheong Kang ),고혜인 ( Hyein Ko ),김성봉 ( Sungbong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정체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주도 S시 에 소재한 고등학교 6개교에서 2019년 9월 22일 ~10월 30일까지 25학급대상으로 500명을 유의표집 하였고, 총 44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성별 학년 별 분포는 빈도분석을 시행하고,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위해 신뢰도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스트레스대처 와 자아정체성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과 사후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연구 대상자의 기질에 따른 성격유형 분포는 정감형(○), 사색형(S), 기획형(△), 실천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는 정감형(○), 기획형(△), 사색형(S)이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유형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은 자아정체성의 하위 요인인 자기 수용성 과 주체성에서 기질정감형(○)이 다른 세가지 기질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목표지향성에 정감형(○)과 실천형(□)이, 기획형(△)과 사색형(S)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질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요인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 차이를 보였으며, 기질에 따라 자아정체성 하위 요인 중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기질 연구가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내적·외적 스트레스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자기 이해도를 높이고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 and self-identity depending on the dis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Hot-tempered Type(○), practical Type (□), planned Type (△), and contemplative Type(S). Six high schools in S-city, Jeju Island, marked 500 people in 25 classes from September 22, 2019 to October 30, 2019, the distribution by gender and grade is based on a total of 449 data, the reliability factor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and Multivariate analysis and post-valid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tress coping and self-identity. Post-analysis of the variables was verified by ANOVA and Duncan, SPSS Statistic 18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Second, stress coping in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driven coping among the subtypes of Hot-tempered Type (○), contemplative Type(S), planned Type(△), and this stress coping. Third, self-acceptance and independence, which are self-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differ from the three substrates that differ in their Hot-tempered Type(○) disposition, the goal orientation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Hot-tempered Type (○), practical Type (□), and planning Type(△), contemplation Type(S). This showed differences in problem-driven coping among sub-factors of stress coping depending on temperament, and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ivity, self-acceptance, and goal orientation among sub-factors of self-identity depending on tempera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temperament research can help them overcom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tresses they experience in adolesc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increase self-understanding required to establish self-identifyng.

      • 딥러닝을 활용한 알약 인식 모델 연구

        최준식 ( Joonsik Choi ),윤수현 ( Suhyeon Yoon ),고혜인 ( Hyein Ko ),권구환 ( Guhwan Kwon ),정예락 ( Yerak Jeong ),이형원 ( Hyung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공데이터 포털에 제공하는 정보에 의하면 국내에는 20,000종 이상의 약이 유통되고 있다. 식약처와 여러 제약회사에서 기본적인 약 정보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정확한 처방전이나 설명서가 없는 경우에 무분별한 약 복용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일부 약 검색을 지원하는 사이트가 있으나 세부 사항을 사용자가 일일이 선택하고 입력해야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약을 촬영하면 해당 약을 인식하고 상세 정보를 알려주는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였다. CNN 신경망을 사용하여 약의 모양, 색상, 마크, 분할선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인식된 약의 세부 정보는 공공데이터로부터 받아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