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광원을 이용한 복잡한 배경의 잠재지문 시각화 및 증강에 관한 연구

        조형우(Hyeong-Woo Cho),고현서(Hyun-Seo Koh),한상균(Sang-Gyoun Han),유제설(Je-S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증거물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양한 기법 중에 증거물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배경의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법광원 이용 기법 세 가지를 비교하여 보았다. 색상, 표면의 모양, 표면의 질감에 따라 다양한 검체를 선정하였으며 형광 분말, 적외선 사진 촬영,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을 이용하여 잠재지문을 현출하였다. 형광 분말은 모든 표면에서 지문과 배경의 대조비가 커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IR사진 촬영은 지문과 배경의 대조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검정색이 포함된 배경에서는 대조비가 떨어졌다.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 촬영은 광택이 있는 평면 표면에서만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형광 분말이 표면의 특성에 관계없이 지문 현출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특정 표면에서는 IR사진 촬영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from evidence found at crime scenes. Crime scene investigators should choose appropriate techniques among them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ree methods using forensic light sources to develop latent fingerprints on multi-colored surfaces. We selected the various samples according to color, shape and texture of the surfaces and developed the latent fingerprints using fluorescent powder, IR(Infrared) photography and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Fluorescent powder was highly effective on all surfaces. IR photography was also effective, but only on the not dark surfaces.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was effective only on the flat and polished surfaces. Although fluorescent powder was fine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s, IR photography was better on certain surfaces.

      • KCI등재

        특수 종이 표면에서 ninhydrin 계열 시약의 적용 및 효과성 비교에 관한 연구

        김청(Chung Kim),조형우(Hyeong-Woo Cho),고현서(Hyun-Seo Koh),유제설(Je-Seol Yu)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해외의 연구들에 의하여 몇 가지 종이류에서는 ninhydrin 및 유사체 시약들의 잠재지문 현출 효과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특수지에 대해 우리나라 실험 조건에서의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효과는 어떤지 알아보았다. 이전 연구들을 토대로 6종의 종이류를 선택하였으며, 이들 종이류에 남겨진 잠재지문을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4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현출한 뒤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6종의 종이류 중에서 신문지가 실험에서 사용된 잠재지문 현출 기법들의 효과가 가장 떨어지는 표면이었으며 시약 중에서는 `1.2-IND/Zn`가 전체 표면에서 가장 높은 대조비의 지문을 현출해 내어 가장 뛰어난 시약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현장에서 발견된 특수지의 경우에 잠재 지문 현출 시약으로 `1.2-IND/Zn`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Some previous studies had proven that ninhydrin or its analogues qre not effective in developing fingermarks on some type of paper.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efficiency of four reagents for detecting latent fingermarks on six unusual paper surfaces. Among the six types of paper surfaces, none of the reagents worked on the newspaper. The 1.2-IND/Zn developed fingermarks on most of the surfaces t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