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각지붕 사찰 주불전의 규모에 따른 기둥 및 처마부 관계분석 연구

        고정주(Go, Jung-Ju),이정수(Lee, Jeo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중 합각지붕 형식을 가지고 있는 사찰의 주불전 32동을 대상으로 규모에 따라 규모별 구성요소의 구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부재 상호간 미치는 영향이나 비례관계 등을 분석하여 향후 문화재 복원 및 보수를 위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비례 는 3칸 건축물에서 도리통(전면)과 양통(측면)의 평균비례는 1.31:1 정도이며, 5칸 건축물 평균비례는 1.70:1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주칸비례 및 위치별 기둥 굵기를 분석한 결과, 3칸 및 5칸 건축물 모두 어칸이 퇴칸이나 협칸에 비해 주칸을 넓게 형성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칸 건축물 평균 기둥 굵기는 귀기둥 491mm, 평주 433mm 정도이며, 5칸 건축물에서는 귀기둥 595mm, 평주 511mm 정도의 굵기로 분석되었다. 귀기둥 굵기가 평주보다 평균 60mm∼80mm정도 굵게 이루어진 것은 구조 적인 안정성과 착시현상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물규모(면적)에 따른 기둥 굵기, 처마 내밀기, 차마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3칸 건축물에서는 건물규모(면적)가 큰 건물일수록 크게 나타나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5칸 건축물에서는 건물규모(면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기둥과 처마와의 관계 분석 결과, 3칸 건축물과 5칸 건축물에서 모두 기둥 길이가 긴 건물일수록 처마높이와 처마 내밀기를 크게 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처마높이는 기둥 길이와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칸 건축물과 5칸 건축물에서 모두 처마 내밀기가 큰 건물일수록 처마높이도 높게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s on analyzing specific features of the elements according to scales of 32 main buddhist sancta among wooden temples with gable roof that are nationally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and analyzing influences and proportional relations between main and submaterials, so that it could be basic and objective data for restore and repair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of all, the average plane proportion of doritong (facade) and yangtong (side) in 3-room building is about 1.31:1, while it is 1.70:1 in 5-room building.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cational proportion and thickness of pillars at each location, floor room turned out to have wider space between pillars than that of edge room or side room in both cases of 3 and 5-room buildings. In the mean time, for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illars in 3-room building, it was 491mm for corner pillars, 433mm for general pillars in cases of 3-room building, while it was 595 and 511mm respectively in cases of 5-room building. The reason why corner pillars are 60~80mm thicker than general ones in average, is determined to considered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illusion. For th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n pillar thickness, eaves projection and eaves height according to the scale(dimension) of buildings, 3-room buildings have outstanding correlation as its scale(dimension) goes bigger, while 5-room ones are not very much influenced by its scale(dimension). For the fourth, as a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pillars and eaves, both of 3 and 5-room buildings have longer-projected and higher eaves as their pillars go taller; especially height of eaves turns out to have very close relation between length of pillars. In addition to that, both of 3 and 5-room buildings have much projected eaves as the eaves go higher.

      • KCI등재

        전통목조건축물 지붕곡과 기울기에 관한 연구

        고정주(Go, Jung-Ju),이정수(Lee, Jeo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정밀실측이 이루어진 국가지정문화재 중 사찰의 주불전을 대상으로 맞배지붕 건물과 합각지붕 건물로 구분하여 지붕에서 나타나는 앙곡, 안허리곡, 용마루곡과 지붕기울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배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건물규모(면적), 내부 고주 유무 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5량가 구조와 7량가 구조 중에 규모가 큰 7량가 구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맞배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데 앙곡이 큰 건물에서 안허리곡도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붕기울기는 변수요인(평면요소, 입면요소, 단면요소)과는 크게 연관성이 없으며, 앙곡, 안허리곡, 용마루곡 크기는 공포의 외1출목과 외2출목에서 비슷한 크기였으나, 외3출목에서는 상대적 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합각지붕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곡은 맞배지붕 건물과는 다르게 서로 상관관계 없었는데, 전면과 측면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전면의 곡이 크게 나타난 건물에서는 측면에서도 크게 나타났다. 넷째, 합각지붕 건물 내부에 고주가 있는 건물은 앙곡과 안허리곡이 크게 나타난 반면, 고주가 없는 건물에서는 작게 나타났으며, 용마루곡은 건물규모와 건물높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건물이 높거나 큰 건물에서 용마루곡이 크게 나타났다. 지붕기울기는 맞배지붕 건물에서 와 같이 변수요인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entral Buddhist temple among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assets, which were measured precisely, into the gable roof buildings and the gambrel roof buildings to analyze the Ang-Goak, Inside waist, ridge ratio, and roof inclination represented on the roof, and prepare basic objective material for the restoration and repair of cultural assets. As a resul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f curve and the inclination of the gable roof building and gambrel roof build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Ang-Goak and Inside waist of the gable roof building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building size, and the internal high pillar existence. In addition, the Ang-Goak and Inside waist were shown in the 7-ryangga structure, which is greater in size than in the 5-ryangga structure. This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building size. Second, the Ang-Goak and Inside waist of the gable roof building has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it was found that Inside waist also was large in the building with a larger Ang-Goak. The roof inclination rarely had a connection with variable factors (plane factor, elevation factor, and cross section factor). The sizes of Ang-Goak, Inside waist, and ridge ratio were similar in the outside 1 chulmok and outside 2 chulmok of gongpo but those sizes were relatively larger in outside 3 chulmok. Third, the Ang-Goak and Inside waist of the gambrel roof building moved independently for each building without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unlike the case of the gable roof building. The front and the side showed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in the building with the large curve of the front side, the curve was also large in the sides. Fourth, in the case of the building with a high pillar inside the gambrel roof building, the Ang-Goak and Inside waist were larger. On the other hand, they were smaller in the case of a building without a high pillar. This was f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building size. In addition, the ridge ratio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building size and building height. Therefore, the ridge ratio is larger in a high building or large sized building. The roof inclination rarely has a correlation with variable factors, as in the case of the gable roof building.

      •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대피 시스템

        최혜린 ( Hye-rin Choi ),고정주 ( Jeong-ju Go ),박예찬 ( Ye-chan Bak ),전상철 ( Sang-cheol Je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재난 상황 발생 시 정보 습득이 어려워 시각장애인의 경우 초동대응 시간을 놓치게 된다. 특히나 화재사고 사상자 중 사망자 비중이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약 4 배 ~ 5 배 더 높으며 현재까지도 사상자가 발생하여 중요한 사회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스마트 대피 시스템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초동 시간 내에 사회복지사와 소방관이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와 정보를 파악해 신고를 유도함과 동시에 자력 대피가 가능하도록 최적대피 경로를 능동적으로 결정하여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