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전문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고정리(Go Je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질적인 유치원교육을 위해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전문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살펴보고 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경남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 중인 공립유치원교사 26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0년 7월 5일부터 25일까지 3주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α 신뢰도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전문성, 교사효능감, 교수몰입 간에는 의미있는 연관성이 나타났다. 또한 교수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은 의미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전문성은 교사효능감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효능감, 교수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수몰입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사전문성 인식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면서 교사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자율성에 바탕하면서 교수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이고 심리적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ublic ki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for teacher expertise having an effect on teaching flow mediating teacher efficacy.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 were 269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 sang nam do and ques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anced aimed at this teachers during twe weeks. To measure public ki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for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teaching flow,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question material was collected and collected question material was analyzed using SPSS 23 program.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ublic ki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for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teaching flow had meaningful relation, 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were sigificant variable predicting teaching flow. Second, public ki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for teacher expertise has meaningful effect on teaching flow mediating teacher efficacy. Conclusions Later,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 to improve public ki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고정리(GO JE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행복과 교육의 질은 비례한다는 전제 하에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모, 동료 교사, 원장의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C시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0년 10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 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행복감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의 긍정심리자본과 부모, 동료교사, 원장의 사회적지지 변인은 행복감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모, 동료교사, 원장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긍정심리와 심리적 안녕감에 바탕을 둔 긍정심리자본은 교육과 훈련을 통해 함양되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 내 및 조직 외의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On the premise that the happiness of teacher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in proport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s of parents, peer teachers and dire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4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 city,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five days from April 6 to 10, 2020.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which are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ptimism,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of parents, peer teachers, and dire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happiness. Second,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peer teachers and directors in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a key competency to be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should actively find ways to buil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systems in and out of th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