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혼모의 임신 기간 중 심리사회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고은애(Eunae Ko),김혜정(Hyeje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미혼모가 임신기간 중 겪는 심리사회적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로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미혼모들이 임신 중 체험하는 공통된 심리사회적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며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산을 경험한 후 미취학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미혼모 8명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각 참여자와 1회, 1시간 반에서 2시간 이내의 반구조화 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임신, 위기적인 몸의 변화’, ‘충격, 위기임신의 충격에 압도됨’, ‘복합적 갈등관계, 아이아빠’, ‘혼전임신, 사회적 편견에 대한 두려움’, ‘책임감, 한 인간으로서 아이에 대한 책임’이었다. 몸의 변화로부터 임신을 지각하게된 미혼모는 심리적 충격에 압도되고, 아이 아빠와 관계 갈등을 겪는 한편, 사회적 편견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태아에 대한 모성을 키우며 출산과 양육을 선택한다. 결론 이에 따른 미혼모의 심리사회적 체험의 본질은 ‘예기치 못한 임신으로 인한 다양한 내적갈등과 아이 아빠를 비롯한 복잡한 사회적 관계들과의 갈등과 단절 및 위기 속에서도 모로서 느낀 책임으로 임신을 유지함’으로 도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experience of unmarried mother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about with 8 unmarried single mothers living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 s phenomenological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x components and sixteen sub ordinate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The six components were ‘Pregnancy, Critical Body Change’, ‘Shocked, Being Overwhelmed by Crisis Pregnancy’, ‘Conflict, Ambivalent Suffering from Crisis Pregnancy’, ‘Complex Conflictual Relationship with Father of Baby’, ‘Premarriage-pregnancy, Anxiety of Social Prejudice’, ‘Responsibility, The Responsibility for The Baby as a Humanbe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unmarried single mothers’ psycho-social experiences in their pregnant period and contributed to support psychological counseling or establish policies for unmarried single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