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과 서술양상

        고유림 ( Ko Yu-li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중국조선족문학을 바라보는 국내의 시각은 조선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동궤를 이루며 형성되어 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국내 연구들은 중국조선족문학의 개별 작품들을 한민족디아스포라, 재외한인, 중국조선족디아스포라와 같은 디아스포라 담론장 안에서 또는 장르사 연구로 한정시켜 논의해 왔다. 그러나 실제 조선족들의 역사적 문맥 안에서 중국조선족이 서술한 문학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균형 있는 시선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중국조선족들의 역사 및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관점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관점들이 문학사에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할 때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문학사를 서술해 온 그간의 전통에 새로운 참조항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저술된 총 4종의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을 파악하고, 그 체제 및 시기구분과 서술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중국조선족문학사는 중국조선족문학의 사적 흐름을 집대성한 조성일(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에 의해 처음으로 저술되었다. 그 이후의 문학사들은 자료의 확충과 시기 조정 및 시기의 확대, 작품 선택의 기준이라는 점에서 조성일(외)의 문학사와 다른 서술태도를 보인다. 또한, 조성일(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제외한 나머지 세 편의 문학사에서 모두 천쓰허(陳思和)의 ‘무명’과 ‘공명’의 개념을 차용하여 시기를 명명하고 있으며, 상ㆍ하한 시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문학사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자기 문학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민족과 국가정체성으로 수렴되어 자신들의 문학사를 저술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0년대 이후에 저술된 중국조선족문학사는 중국이나 기타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 안에서 객관적으로 자신들의 문학사를 평가하려는 서술태도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조선족임을 부각시키려는 인식이 드러나 있다. The domestic viewpoint on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as been shaped with the general awarenes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ccordingly, the domestic researches on individual work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ave been discussed restricted to the study on the history of genre or the discussion of diaspora such as the Korean diaspora, overseas Korean, and the Chinese-Korean diaspora up to now.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considering wholly the literature history that the Chinese-Koreans have described within their own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makes securing a balanced approach to the research made previously main object. That is to say that understanding the viewpoints of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Chinese-Koreans and the meaning on how such viewpoin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history of their literature will be able to be new reference in tradition so far in which the history of literature has been narrated focusing on the ethnic and the n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peculated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of the four kinds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narrated up to now, and the format and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the narrative aspects. In summary, the first work on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started from “The history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written by Cho sung-il et al. who made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historical stream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After that time,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has been narrated with different aspects from the first work in view of the enlargement of reference, the period modification, extension of the period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a work. In addition, in the other three literature history except the first work, the period was designated borrowing the concept of ‘無名’ and ‘共名’ suggested by ‘陳思和’ and the criteria dividing the period into upper and lower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iterature history. Finally, when it coms to how to recognize their own literature, they had showed the writing aspects converging into the ethnic identity and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stage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while they have showed the writing attitude judging their literature history objectively with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literature and other foreign literature after 2000s.

      • KCI등재

        일본, 중국의 한국문학사 서술에 나타난 카프의 양상

        서동수 ( Seo Dong-soo ),방윤제 ( Bang Yun-jae ),고유림 ( Ko Yu-lim ) 한국비교문학회 2018 比較文學 Vol.0 No.76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서 바라본 카프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이다. 일본과 중국에서 한국문학사를 연구하는 일은 동아시아 정치, 사회, 문화와 겹치는 일이다. 특히 카프는 한중일의 복잡한 정치, 사회, 심리적인 것들이 얽혀 있는 사건이다. 일본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에서 카프는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띤다. 하나는 카프를 일종의 일시적인 역사 운동이며, 낭만적인 작품들로 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재일본조선인의 문학 활동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주로 재일본조선인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반면 중국의 경우는 일본과 상이한 관점을 보이고 있다. 중국에서는 카프를 운동과 작품 모두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일제에 맞선 저항운동이자 새로운 문학운동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카프를 중국문학사의 관점과 기술방식에 의해 서술하고 있으며, 때로는 북한문학사의 관점에서도 기술하고 있다. 앞으로 카프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는 동아시아의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historical study of KAPF from Japan and China. Studying Korean literary history in Japan and China overlaps with East Asian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n particular, KAPF is an incident involving complicated polit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ffair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KAPF has two major aspects. One is a kind of temporary movement in history and romantic works formed. The other focuses on literary activiti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mainly dealing with the issue of proletarian literary movements and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On the other hand, China has a similar view. It is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in movement and works. It is seen as a new literary movement as well as a resista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y mostly follow the Chinese literary history’s views and techniques, and sometimes even described from the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perspective. The literary historical assessment of KAPF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of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