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딥러닝을 이용한 약물 화학 구조 예측

        고수현(Soohyun Ko),박치현(Chihyun Park),안재균(Jaegyoon Ahn)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21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8 No.2

        Numerous computer-based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in attempt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drug development.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iques, various generation models for generating the chemical formulas of candidate compounds and reinforcement learning models to generate chemical formulas that satisfy specific conditions have been presen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that exploits predicted binding affinity information between specific proteins and generated compounds. More specifically, the generative model used in this paper is Stack-RNN, and reinforcement learning is implemented by using Stack-RNN as a policy to ensure that the generated formula has specific chemical properties and high binding affinity with specific proteins. The proposed model generates paper, we generated the chemical formulas of compounds that are similar to three anti-cancer drugs (Sorafenib, Sunitinib, and Dasatinib) by using the target protein information of these three anti-cancer drugs.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김태량(Tae-Ryang Kim),고수현(Soohyun Ko)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실증적 근거로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결측치가 없는 28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접적으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이 자기결정성을 높이고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함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부모가 대학생의 자율성 지지를 통하여 그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고, 간접적으로는 가족구성원의 자기결정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도 원용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happines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psychological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e research method was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to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from September 2023 to November 2023,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based on 289 data without missing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higher level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happiness. Fourth, indirect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oviding an empirical basis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and promoting psychological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who are pre-socialized adult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enable parents to promote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upporting college students’ autonomy, and indirectly to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to promote family members’ self-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