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장·교감 변혁적 리더십이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식(Lee Yun Sik),고병면(Ko, Byung M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장과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 십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학교구성원들 간의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와 학교조직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 교사 셀프리더십,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장과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이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십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고,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과 교사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으며 총 효과를 증가시켰다. 교사 셀프리더십은 다른 변인들보다 학교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직접적인 효과로 영향을 미쳤고, 교장과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할 때 학교조직효과성이 효과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구조관계 모 형을 통해 바라본 학교 현장은 학교조직구성원의 전반적인 리더십의 영향관계가 대체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자면, 교장은 교감과 함께 파트너십을 바탕으 로 학교 행정을 도모하고 교사 셀프리더십이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학교 조직을 운영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교 행정가는 교사의 셀프리더십 향상 및 발휘를 위한 여건 조성과 지원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tructure relationship and impact between the ext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and each variable from the relationships among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ce-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ade-head teacher’s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procedu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llowing analysis upon direct/indirect effect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ce-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ade- head teacher’s leadership, teacher’s self-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l of the leaderships in this study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direct effect up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grade-head teacher’s leadership and Teacher’s self-leadership, parameter variable,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ce-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em, teacher’s self-leadership had a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o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incipal and vice-principal as a school administrator and grade-head teacher as a middle manager need to exercise their leadership to foster teacher’s self-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