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의 중용

        고명문(Ming-Wen Gao),모아영(A-Yeong M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공자가 ‘중용’을 언급하고 자사가 중용 을 저술한 이래로, 특히 주희가 소대예기의 한 편목이었던 중용 을 사서 중의 하나로 편집하고 재해석한 이래로 중용은 도덕의 극치로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학사상의 중요한 범주로 간주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장악’과 ‘도덕적 행위’, 그리고 ‘습관’이라는 세 개념을 중심으로 정약용이 어떻게 주희의 중용해석을 비판했는지를 검토하고, 더 나아가 정약용의 중용해석과 그것의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주희는 중용의 중을 양단의 중간과 미발의 본연지성으로 해석하고, 용을 평상지리로 해석하여 중용을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는 절대적 이치로 보았다. 따라서 주희의 중용은 사람이 구체적으로 당면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 대한 장악과 노력이 들어있지 않는 절대적 중용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정약용은 중을 신독하는 군자가 각고의 노력을 통해 유지하는 집중의 공부 상태와 상황에 대한 장악으로 이해하고, 용을 사람의 도덕적 행위를 꾸준히 하려는 의미가 들어있는 ‘항상’ 혹은 ‘경상’으로 이해하여 중용을 장악을 통한 도덕적 행위의 습관화로 이해한다. Since Confucius presentied ‘zhong-yong’ and Zi Si wrote Zhong-Yong (The Doctring of the Mean), specially since Zhu Xi edited Zhong-Yong as one of Si-Shu (The Four Books) and interpreted it, zhong-yong was not only recognized as the extreme of morality but also as a significant category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Jeong Yak-Yong criticized Zhu Xi s interpretation of zhong-yong, and furthermore, to search how Jung Yak-yong explain the zhong-yong by tree concepts of ‘grasp’, ‘moral behavior’, and ‘habit’. Zhu Xi interpreted zong as a measured absolute middle of two-side and a non-launched original nature. Interpreted yong as a common truth. Therefore he interpreted zhong-yong as a common truth of neither excessive nor enough. Accordingly, Zhu Xi s zhong-yong can be understood as absolute zhong-yong without human’s reflection and moral behavior. But Jeong Yak-Yong interpreted zhong as the state of a man’s very hard-concentrate and grasp of situation, and interpreted yong as the state of a man’s very hard-effort moral behavior and it’s habit. Therefore he explained zhong-yong as a habit of moral behavior through grasp.

      • KCI등재

        茶山對孔子天命思想的理解

        방호범 ( Hao-fan Fang ),고명문 ( Ming-wen Gao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1

        茶山認爲孔子的"天命"槪念在孔子的思想體系中是一個방大的槪念,其中包括孔子對"天"的認識、"天命"的實質,以及"天命"對人的意義等。本論文主要借助茶山學的視角重新對孔子的天命思想進行探究。幷在此基礎上,建立孔子以仁爲根基的人文主義思想體系,探索孔子哲學的基本精神和終極關懷。 From Tasan′s perspective, the concept of Heavenly Mandate serves to be the mainstay in Confucian philosphy, including his understanding on heaven, the essence of heavenly mandate as well as its implications to human affairs. Our argument in this essay is to explore Confucian reflections on heavenly mandate via Tasan′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humanistic system grounded on Confucian humanity. and to further illuminate Confucian insights on human ultimate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