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수단면 축소구간의 수리특성에 대한 수치실험

        고광돈,권순국,Ko Gwang-don,Kwun Soon-kuk 한국관개배수위원회 1996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3 No.1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constriction openings are analysed numerically by using Galerkin type finite element model of which the governing equation comprises the depth averaged continuous equation and the two-dimensional Navier-Stokes equation. Fo

      • 음성지구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용수공급 특성

        고광돈 ( Ko Gwang-don ),권순국 ( Kwun Soon-kuk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Eumsung TM/TC system is composed of one control center, four reservoirs and twenty irrigation canal systems. In this paper we analyzed operation frequencies of the irrigation system to verify the effect of TM/TC system. Large facilities's operation frequency were more low then small thing and irrigation type was continuous irrigation. operation frequency was most high in may and june. usually water gate was operated once per 5-10 day. With these analysis we concluded that operators should operate irrigation facilities based on scientific technique and designer should make a proper choice in TM/TC system selection fit to the field.

      • 영산강 하구둑 물관리 프로그램 개발

        고광돈 ( Ko Gwang-don ),임창영 ( Lim Chang-young ),곽영철 ( Kwak Yeong-cheol ),김동주 ( Kim Dong-ju ),권순국 ( Kwun Soon-kuk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영산강하구둑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은 복잡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과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정하여 실행시키고, 그 결과로부터 발생 가능한 상황을 예측하여, 문제해결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상황판단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물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물관리프로그램은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 직접 사용하여야 하므로 실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또한 영산강하구둑 물관리프로그램은 물관리자동화에 필요한 조위예측, 관개계획, 재해예방, 수리 · 수문분석, 시스템 분석 및 운용 등의 프로그램을 현장에 맞게 개발하여 적용하고 이의 검증을 통해 물관리자동화 사업의 효율성을 중대시키고자 하였다 물관리프로그램은 비쥬얼베이직과 C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였으며 부프로그램으로 한해, 홍수대책프로그램, 조위예측프로그램, 배수갑문조작프로그램, 관개계획프로그램, 측정자료관리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을 홍수시 및 평시에 적용하여 내수위예측, 조위예측 등을 테스트해 본 결과 영산호의 한해 · 홍수 피해의 경감, 관개효율 증진 둥 적정물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더불어 배수갑문조작도 이들 지원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개방시간 등을 합리적으로 예측하여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개발으로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효과 증대, 물관리 효율의 증대, 물관리자의 경험과 수리, 수문지식의 결합으로 의사결정수준을 향상, 물관라자동화시스템의 하드웨어에 대한 체계적 유지관리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Youngsan Barrier TM/TC system is composed of one control center, three reservoirs and twenty AWS systems. For this system we developed water management program which includes tide forecast program, flood forecast program, drought reduction program, irrigation scheduling program and database program. With these program we expect that operators can improve the irrigation efficiencies of the irrigation systems due to the timely irrigation on a right place, in a proper quantity and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duce flood and drought damages of the Youngsan barrier.

      •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발전방향

        고광돈 ( Ko Gwang Don ),여운식 ( Yo Woon Shik ) 한국농공학회 199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1999 No.-

        In 2000 FFIA. FIA. RDC are united into new corporation. This corporation will manage rural water with TM/TC(Tele-Monitoring/Tele-Control) system. Most systems which were adopted in TM/TC system were Closed Control System which use exclusive network and protocol. Closed Control System can not support new corporation's requirement in water management system. Therefore, new corporation should adopt Open Control System as standard rural water management system. Open Control System support Fieldbus technology, TCP/IP, various protocols, programming model, OPC which is essential to the water management program, and so on.

      • 이기종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통합 방안

        고광돈 ( Ko Gwang Don ),권순국 ( Kwun Soon Kuk ),임창영 ( Lim Chang Young ),곽영철 ( Kwak Yeong Cheol ),김동주 ( Kim Dong Ju ) 한국농공학회 200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3 No.-

        The Closed Control System, which uses exclusive network and protocol, have been adopted in TM/TC systems. However, the Closed Control System is known that it is not able to support the integration in the water management automation. There are two methods in integration solution in different types of TM/TC System. One solution is hardware system integration that is very expensive and impractical. The other solution is software system integration that uses OLE for Process Control(OPC). In this study, we recommend OPC solution, for KARICO water management, that is the practical and efficient. KARICO is using OPC technology in MMI(Man machine Interface) and water management program. Through this technology, the real-time status of reservoir, pumping station and canal can be achieved without difficulty.

      • 의령수역의 자동화물관리 시스템

        박상현 ( Park Sang Hyun ),조영제 ( Cho Young Jea ),고광돈 ( Ko Gwang Don ),서상봉 ( Seo Sang Bong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남강 하류에서 낙동강과 합류하는 의령 지역은 가야시대의 고분과 토기 유물이 산재된 농경문화의 역사적인 고장이다. 의령의 진산인 해발 897m 의 자굴산에서 발원하는 의령천은 퇴계 선생이 머물었다는 서암저수지의 물줄기와 합류된 후, 임진왜란의 격전지인 정암나루에서 남강에 유입된다. 자굴산 북쪽으로 흘러내린 물은 궁유면의 벽계저수지를 거쳐서 유곡천으로 흘러든 후,부림면에서 신반천과 합류하여 낙동강에 유입된다. 의령지역의 농지는 약 9,000 ha이며 이중 수리시설이 잘 설치된 농업기반공사의 관리 구역은 3024 ha로서 이 지역의 수리시설은 지수지 37개, 양수장 35개, 배수장 24개 및 양배수장 4개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용수로의 총 길이는 318 km이며,이중 콘크리트와 관수로 등의 구조물이 93 %에 이르며,배수로는 183 km로서 구조물의 비율은 42 % 정도로서 구조물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러나, 수혜구역이 산간지와 강변 저지대에 산재하여 저수지와 양수장에서 공급되는 물이 용수로를 거쳐서 농지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며 수리시설을 관리 하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전기 등 관리비의 부담이 크며,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공급하는 것도 매우 곤란하다, 홍수시 내린 강우가 가파른 계곡을 따라서 빠르게 강변 저지대에 이르기 때문에 수해의 위험이 상존하는 곳이다. 특히, 강변 저지대의 농지는 매년 반복되는 태풍 때문에 침수 피해가 극심하며,2003년 9월에 발생한 매미 태풍으로 350 ha의 논과 비닐 하우스 농지가 물에 잠기고 저수지와 양배수장 등 수리시설이 파괴되어 정부에서 195억원의 공사비가 조달되었다, 이러한 물관리의 어려움올 극복하기 위하여 의령 수역의 자동화 물관리 시스템이 정부와 지방지치단체의 지원으로 2003년 10월에 설치하게되었다. 본 물관리 시스템은 저수지와 양배수장 등 수리시설의 수위와 유량을 계측하여 자굴산의 지봉인 한우산 중계소를 통하거나 무선으로 의령지사 중앙관리소로 전송되어 의사결정시스템에 의하여 가뭄과 홍수 피해에 대비한 원격측정장치(Remote Terminal Unit)에 의해 자동으로 수위를 측정하고 신속하게 가동할 수 있게 되었다. 자동화시설이 처음 가동된 2004년의 전력비는 약 7천만원으로서 평년보다 30% 정도 전력을 절감하게되었다. 또한 수리시설 관리를 위한 직원도 12명에서 11명으로 1인이 감소하였으나 용수부족이나 침수피해로 인한 주민들의 불만은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이 지역 학생둘에게도 과학적인 영농의 꿈을 심어주는 교육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령지역의 수리시설을 자동화를 통하여 얻게되는 경험은 앞으로 다른 지역의 물관리와 미래 농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되었다. Uiryung Watershed area is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Nam River and Nagdong River where is known as origin of agricultural culture and a lot of historic monuments has been found, such as tombs and earthen vessels during Gaya period in 5 century. Among 9000 ha of agricultural land area, 3024 ha of paddy rice field have been reclaimed and managed by Korean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KARICO) in the riparian area since 1954. As the most of benefit area is located in mountainous area and low land area, there have been severe drought and innuindation problems in the area. To improve the difficulties, Automatic Water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stalled support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in Korean Government. The control office in Uiryung Branch Office of KARICO, receive all the water depth record from Remote Terminal Units in 7 reservoirs and 26 Pump stations to operate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y automatically during drought and flood periods. Since the completion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at the end of 2003, the electric generation cost decrease in 80 % than average years. In spite of decrease of a technical engineer in 2004, complains from farmers for the water management are rather lowered during cropping period. The technological results from the automatic water management system would contribute not only for the Uiryung area but also for the modernization of water management of other watershed area in the future.

      • 농업용수 물관리를 위한 Web-GIS 기반 농업가뭄정보시스템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이남호 ( Nam-ho Lee ),김한중 ( Han-joong Kim ),장민원 ( Min-won Jang ),유승환 ( Seung-hwan Yoo ),김태곤 ( Tae-gon Kim ),고광돈 ( Gwang-don Ko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가뭄의 진행에 따른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가뭄상황의 공간적인 분포의 파악이 필요하며, 이는 적절한 가뭄평가 수단 및 가뭄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을 극복하고 농촌수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농업가뭄상황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농업가뭄대책의 수립과 시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농업가뭄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농업가뭄평가, 농업가뭄전망, 농업가뭄대책의 세단계로 구성되며, 농업가뭄평가 단계에서는 기존의 토양수분지수와 저수지가뭄지수를 통합한 통합농업가뭄지수 (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를 사용하여 현재의 농업가뭄상태를 분석하였다. 농업가뭄전망 단계에서는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상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향후 지역별 농업가뭄의 위험과 피해를 예측하고, 농업가뭄대책 단계에서는 농업가뭄대응책 수립 및 농업수자원 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Web 및 GIS 기반농업가뭄정보시스템은 물 관리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 가뭄 정보를 신속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장·단기 사전가뭄대책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가뭄 예보 및 가뭄 시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