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학작품 읽기에서의 감정 활성화: 피부전도도 연구

        안선영(Ahn, Sun-young),계은진(Gye, Eun-jin),김영주(Kim, Young-joo)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만큼 한국 문학작품 읽기 과정에서 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느낄 수 있는가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가 세 가지 감정 유형(중립, 기쁨, 슬픔)이 내포된 한국 문학 텍스트를 읽었을 때,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두 집단의 피부전도도를 비교하였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 약 100개의 단어가 사용된 12개 단락(감정 당 세 단락씩)을 추출하였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 19명과 TOPIK 4급 이상의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15명의 피부전도도를 기록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어 화자는 감정 유형에 따라 유의미하게 다른 감정 활성화가 이루어진 반면, 감정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감정 활성화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숙달도, 거주 기간, 학습 기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집단 내 차이 역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의 높은 숙달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한국 문학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아직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2언어 읽기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거리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learners of Korean (L2 Korean speakers) can sense emotion embedded in the Korean literature as intensively as native (L1) Korea speaker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Galvanic skin responses (GSRs) automatically risen by emotional stimuli between L1 and L2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emotions (neutral, happy, and sad) while reading a Korean literature. Twelve 100-word long passages (three per each emotion) from Kyung-sook Shin’s “Look after mom” were used for the stimuli. GSRs of 19 L1 Korean speakers and 15 L2 Korean speakers with 4<SUP>th</SUP> or upper levels of TOPIK were recorded during reading and then analyzed. As a result, L1 Korean speak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emotional re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 while L2 Korean speakers did not. This finding suggests the L2 Korean speakers could not feel the emotions implied in the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ir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hich is consistently found as emotional distance in L2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