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차원적 관계의 지지와 갈등이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

        경선정,신희영,박채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3

        Individuals interact in different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across their lifespan. Engaging in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a spouse, friends, parents, children, and siblings is associated with adaptive or maladaptive function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relational support and strain, depression, and resilience across the lifespan, and whether the effects of relational support and strain from different relationship sources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vary by age group. Relational support and strain from different relationship sources (i.e., a spouse, friends, parents, children, and siblings) were assessed in a sample of 1033 participants (20-29 years=210, 30-39 years=203, 40-49 years=204, 50-59 years=209, 60 years or older=207; female=207, male=513) and used to predict depression and resilienc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lational support from a spouse and friends negatively predicted depression, while relational strain from a spouse positively predicted depression. In addition, relational support from friends and children positively predicted resilience, while relational strain from children negatively predicted resilience. The results also found evidence of moderating effects, such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depression were stronger in females than male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children’s support on resilience were stronger for those in their 30s and 40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 KCI등재

        집단 규준과 지각된 규준이 또래 괴롭힘의방관 및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선정,신희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6 No.3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의 참여자 역할 관점을 바탕으로 방관 행동과 방어 행동을 함께 고려하고 초기 청소년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집단에서 형성된 규준과 지각된 규준이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 34학급에 속한 890명(남학생 52%)의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기 초(3월)와 말(7월)에 걸쳐 수집된 종단 데이터를 다층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 학급에서 형성된 집단 규준과 개인의 또래에 대한 지각된 규준 모두 학기 말 청소년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규준과 지각된 규준의 일치도는 학급마다 차이를 보였으며, 또래 괴롭힘을 반대하는 집단 규준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는 학급일수록 공감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이 방어 행동을 더 자주 보이고, 방어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청소년들이 방관 행동을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개인이 보이는 역할 행동에 집단 규준뿐 아니라 지각된 규준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각된 규준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실제적인 함의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