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매설물 속성정보를 활용한 지반함몰 영향인자 분석

        강재모(Jaemo Kang),이성열(Sungyeol Lee),김진영(Jinyoung Kim),공명식(Myeongsik K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5 No.1

        Ground subsidence mainly occurs in urban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so it is necessary to clearly identify the cause of occurrence and prepare in advance. The main cause of ground subsidence is reported to be the creation of cavities in the ground due to damage to underground pipes, but the property inform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underground pipes to predict and prepare for ground subsidence are not properly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were selected among the underground facility property information and a regression equation was propos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is purpose, data on underground structures and ground subsidence history information in the target area were collected, and the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girds of 100m x 100m in size using QGIS. The underground facility attribute information and ground subsidence history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the gird were extracted. Then, preprocessing was performed to construct a datase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factors excluding the year of sewer pipes and communication pipes and the average depth of communication pipes, heat pipes, and gas pip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round subsidence. In addition, a regression equation for whether ground subsidence occurred in the target area is propos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3차원 지반모델링 기반의 지반함몰 위험 지반 레이어 개발 방법

        강정구(Junggoo Kang),강재모(Jaemo Kang),박준환(Junhwan Parh),문두환(Duhwan Mu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12

        도심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반함몰 사고는 지하시설물의 노후화, 지하개발 활동에 따른 지반의 교란과 지하수 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지반함몰 위험을 사전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반함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지반 공학적 및 수리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반조사 데이터 및 지하수위 변동 정보를 이용하여 지반함몰이 발생한 연구대상 지역의 3차원 지반모델링 및 월별 지하수위에 대한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실제 지반함몰 발생 이력과 지반조건 및 지하수위 변화와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시추정보에서 통일 분류 체계(USCS)에 따라 제시된 흙의 공학적 특성을 지반함몰과 연관된 공학적 지표인 흙의 내부 침식 민감도로 재구성하여 지반함몰 위험도를 가시화하는데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반함몰 발생 지역의 지반은 내부 침식이 취약한 모래(SM, SC, SP, SW)가 40% 이상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함몰 발생빈도와의 관계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eterior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disturbance of the ground due to underground development activities, and changes in ground water can cause ground subsidence accidents in the urban areas. The investigation on the geotechnical and hydraulic factors affecting the ground subsidence accident is very significant to predict the ground subsidence risk in advance. In this study, an analysis DB was constructed through 3D ground modeling to utilize the currently operating geotechnical survey information DB and ground water behavior information for risk prediction. Additionally, using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ground subsidence occurrence history and ground conditions and ground water level changes was confirmed. Furthermore, the methodology used to visualize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was presented by reconstructing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oil presented according to the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in the existing geotechnical survey information into the internal erosion sensitivity of the soil,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nd in the area where the ground subsidence occurred consists of more than 40% of sand (SM, SC, SP, SW) vulnerable to internal eros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ground subsidence due to the change in ground water level is also confirmed.

      • KCI등재

        열수송관 파손확률 추정 방법론 개발

        공명식(Myeongsik Kong),강재모(Jaemo K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11

        도심지 지하에 매설된 열수송관 등 지하매설관이 점차 노후화함에 따라 파손에 의한 인적,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등 문제점을 즉시 확인하기 어려운 열수송관의 특징을 고려할 때, 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현실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열수송관 이력정보를 검토하여 파손확률과 연관성을 가지는 평가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파손확률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손확률 추정을 위한 영향인자는 유럽의 사례, 국내 열수송관 관리기준 등을 분석해 도출하였으며, 데이터의 확보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열수송관 설치기준이 변경된 1999년을 기준으로 매설시기에 따라 2가지 파손확률 추정 함수를 달리 제시하고 관경, 용도, 관리주체 등 평가인자별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파손확률을 보정하여 파손확률추정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increased from damage to underground pipe such as heat transmission pipe buried underground in downtown because pipes are gradually ag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 transmission pipe,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difficult to immediately identify problems such as damage, it is realistic to indirectly check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historical information that is periodically collected through facility maintenanc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damage probability was developed by examining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heat transmission pipe, deriving an evaluation factor that is related to the damage probability. The contribution factor of the damage probability were reviewed by analyzing not only the guidelines for maintenance of heat transmission pipe of advanced European countries and domestic district heating companies, but also the cases of waterwork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orrelation with the damage probabilit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securing data. Based on 1999, whe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standards of heat transmission pipe changed, the damage probability estim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use was divided into the case of being buried before 1998 and the case of being buried after 1999, and presented. In addition, the damage probability was corrected by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the measured data for each evaluation factor such as the diameter, use, and management authority.

      • KCI등재

        지중관로 매설 밀집도에 따른 지반함몰 발생 상관 분석

        김진영(Jinyoung Kim),강재모(Jaemo Kang),최창호(Changho Choi)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11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함몰이 꾸준하게 발생되고 있어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로 하부에는 상수관로, 하수도관로, 통신관로 등 각종 지하 시설물이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노후화와 지하 난개발로 인해 지반함몰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 관로의 노후도에 따라 지반함몰 발생 위험도를 분석된 결과가 있지만 지반 교란상태를 나타내는 관로의 밀집도를 활용한 지반 함몰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대표 지하 관로 6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하공간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지반함몰과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반함몰 발생 지역에서는 지하 시설물의 밀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반함몰에 관로의 밀집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ground subsidence has been steadily occurring mainly in downtown areas, threatening the safety of citizens. Under the road, various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pipe, sewage pipe, and communication pipe are buried. Due to the aging of these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reckless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it is acting as a cause of ground subsidence. Although there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existing pipeline, there is no result of analyzing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using the density of pipelines indicating ground disturb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nsity of the underground space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six types of representative underground pipelines in Seoul, and a study was conducted on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ground subsid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nsity of underground facilities is high in the area where the ground subsidence occurred, indicating that the density of pipelines have an effect on the ground subsidence.

      •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도심지 지반함몰 영향인자 선정

        이성열 ( Sungyeol Lee ),강재모 ( Jaemo Kang ),김진영 ( Jinyoung Kim ),공명식 ( Myeongsik Ko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상부가 붕괴되는 현상인 ‘지반함몰’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지반함몰의 주요원인은 지반에 매설된 지중매설관의 손상으로 보고되었으며, 매설관의 손상부로 주변 토립자가 유실되어 공동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반함몰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중매설관 정보를 활용하여 지반함몰 위험도를 예측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반함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중매설관의 속성정보를 파악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의 지중매설관 속성정보와 지반함몰 발생이력을 활용하여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지반함몰 영향인자를 선정하였다. 공간회귀분석은 공간시차모형(SLM)을 활용하였다. 또한, 지중매설관은 상수, 하수, 가스, 전기, 통신, 난방으로 총 6종의 구경, 평균심도, 노후년도, 밀집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지중매설관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관의 노후년도와 통신과로의 평균심도 및 노후년도을 제외한 모든 속성정보가 지반함몰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심지 지반 함몰의 위험도 예측을 위한 모델 구축에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