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정 장치를 접착한 환자에서 essential oil mouthrinse와 치간 칫솔의 효과 비교

        홍숙찬(Hong, Sook-Chan),강승택(Kang, Sung-Taek),신주희(Shin, Joo-Hee),임용규(Lim, Yong-Kyu),이동렬(Lee, Dong-Yul)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essential oil mouthrinse and interdental brush for oral hygiene in orthodontic patient. 90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were divided into 3 groups(Group 1: patients who had only used toothbrush, group 2: toothbrush + essential oil mouthrinse, group 3: toothbrush + interdental brush). Then, plaque index(PI) and gingival index(GI) were evaluated at before(T0), 3 weeks after(T1) and 6 weeks after(T2) the experiment.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I and GI of groups 2 and 3 comparing to those of group 1 during 6 weeks.(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crease in PI and GI between group 2 and group 3.(p<0.05) The present study thus implied that use of mechanical or chemical aid such as interdental brush and mouthrinse in addition to toothbrushing may help maintaining oral hygiene in patients undergo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for prolonged du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측두 하악 관절 장애 환자의 파노라마 영상과 cone beam형 전산화 단층 영상의 비교

        이동렬(Dong-Yul Lee),김연중(Yun-Jung Kim),송윤헌(Yun-Heon Song),이남호(Nam-Ho Lee),임용규(Yong-Kyu Lim),강승택(Sung-Taek Kang),안석준(Sug-Joon Ahn)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6

        본 연구는 교정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측두 하악 관절 장애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영상과 파노라마 영상을 비교하여 파노라마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6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측두 하악 관절 부위의 이상 증상으로 치과 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진단과 파노라마 촬영을 시행 후 CBCT로 촬영한 106명, 212개 관절을 대상으로 영상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2명의 치과의사가 하악 과두의 골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여 정상(normal), 편평화(flattening), 골경화(sclerosis), 골증식체(osteophyte), 침식(erosion)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로 첫째, 검사자간 신뢰도에서 파노라마(weighted kappa: 0.714), CBCT (weighted kappa: 0.727) 각각의 영상 진단 일치도가 높았다. 둘째, CBCT 영상에 대한 파노라마 영상의 A 검사자의 민감도는 82.4%, 특이도는 58.1%였으며 B 검사자는 각각 84.3%, 61.5%였다. 셋째, 파노라마 영상과 CBCT 영상이 5% 유의수준에서 두 영상 간 판독이 동일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노라마 영상이 CBCT 영상과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80% 이상의 민감도를 보여 측두 하악 관절 골 변화의 일차적인 진단수단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과 측두 하악 관절의 골 변화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불분명한 경우 CBCT를 사용하였을 때 더욱 정밀한 진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치교정지 2010;40(6):364-372)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diagnostic validity of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compared to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Methods: Panoramic radiograph and CBCT were taken from a total of 212 joints from 106 subjects. The joints were examined by two dentists and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groups: normal, flattening, osteophyte formation, erosion, sclerosis, and unclassifi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observer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high intra-observer reliability in the diagnosis of both panoramic and CBCT images and the weighted Kappa indices of panoramic and CBCT images were 0.714 and 0.727, respectively. The sensitivities of panoramic images of observer A and B to CBCT images was 82.35% and 84.30%, respectively, while the specificity of observer A and B was 58.06% and 61.54%, respectively. However, guided diagnosis from panoramic and CBCT imag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5).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panoramic radiograph could be used as a primary diagnostic device to detect bony changes of temporomandibular joints in clinical orthodontics, because panoramic images showed relatively high sensitivity compared to CBCT images. However, CBCT images may be one of the best choices when a more accurate diagnosis is necessary. (Korean J Orthod 2010;40(6):364-37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