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분노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석기 ( Seok Ki Kang ),한상훈 ( Sang Hoon Han ),박명신 ( Myeung Sin Par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분노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자료의 처리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 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등학생들의 분노는 우울과 불안에 대한 정적인 관계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부적으로 우울과 불안에 대한 영향력을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분노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들의 분노가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부적응적인 요인이 밝혀짐과 동시에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밝혀내어서 고등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더불어 심리ㆍ사회적으로 적응적인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influence of anger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how to moderate effects of self-esteem. Data gained from a survey for 627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or South Chungcheong Provin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19.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well as to calculate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causal links among variables while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high school students, ange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self-esteem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self-esteem has the ability to moderate the effect of anger on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basis that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achieve successful academic results and b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to which they can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adjust by identifying the maladjusted factors causing anger to affect depression and anxiety and looking for moderating factors that can prevent such correlation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정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강석기 ( Seok Ki Kang ),고수현 ( Soo Hyun Ko ),한상훈 ( Sang Hoon Ha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정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로모형으로는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서 사회불안, 부정적 정서, 내현적 자기애를 독립변수로 하고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리나라의 중부권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4학년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의 내용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AMOS 4.0 프로그램으로는 경로분석을 위한 가설검증 및 모형의 적합도 지수, 경로계수, 경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리나라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정서이며, 간접적인 영향력으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 변수로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우울에 사회불안과 내현적 자기애 및 부정적 정서가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이전의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어왔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더욱 발전하여 예기사회화 과정에서 미래사회로 진수하려는 사회적 생산자로서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로 확대를 시도하였으며, 심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으로서의 사회불안을 적용시킨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하여 우울을 약화사킬 수 있는 심리·사회적인 실증자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social anxiety, negative emotio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s the method to process the data of this study, I used the result of having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396 male and female students of between freshman and senior attending university in Jungbu area.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8.0 descriptive statistics softwar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conduct the cleansing work with the most appropriate measurement variable.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through AMOS 4.0 software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rameter estimation valu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covariance matrix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ath analysis, and predetermined variables on casual relationship. In path analysis, students social anxiety, negative emotion, covert narcissism, ha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depression. And internalized shame has indirect influences on it. These results have a statistical worth.

      • KCI등재

        고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수현 ( Soo Hyun Ko ),강석기 ( Seok Ki K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우울과 불안 및 분노의 요인 들이 어떠한 인과관계와 경로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인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1~2학년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학교폭력에 관련된 정서적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중 736부(남학생 342명, 여학생 394명)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 생 변수로서의 우울과 불안은 내생변수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직접적인 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변수들이 분노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요인들 중에 서 우울과 불안 및 분노 요인의 기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우울과 불안의 분노요인을 매개로 한 효과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치료적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 구축과 학교폭력 관련 프로그램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ath of causality of depression, anxiety, anger affect high school violence. For the analysis,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2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emotional scale related to school violence study. Among them, 736 students(male 342, female 394)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pression and anxiety of high school as an exogenous variable was found to affec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s an endogenous variable. And on the other hand, these variables were identified that also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indirectly by anger as a parameter.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structur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anger among the factors, emotional factors affecting school violence in high school. E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factors could verify the effect appears even anger factor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herapeutic method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significance is that it can help to improve school violence-related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의 행동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변보기(Pyon Bo Ki),강석기(Kang Seok Ki) 한독교육학회 200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6 No.2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adolescent’s behavioral factors affec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nd how the behavioral factors found out to be the important domain differ in the effect affect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s the method of this study, it was mainly designed to define that the effect affect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was related to the juvenile behavioral factors. For this, We used the result of questonnaire survey conducted targeting 800 male and female pupils attending classes from 1st to 3rd grad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establishing the subject matter of this study, We can define distinguishing the issue of adolescent’s adjustment specifically as behavior. By observing the behaviors in advance, we can prepare the social involvement to prevent the adjustment problem in advance, an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role by which the juveniles may adjust themselves psychosocially was established. In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e used Korean edition of Youth Self Report(K-YSR) for the application of dependent variable. An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We used the behavioral factors such as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measures of depression, measures related to shyness, measure of anger, how territorial is one’s family, how to self-monitor, and measuring self-actualization as measurement tools in 6 areas of sub-domai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 the effect affecting the adjustment of juveniles, the remaining sub-domains excluding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were affecting significantly, and 40.5% of explanation effect was observed. Secondly, in the differences of the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ey showed themselves in the sequence of the measures of depression representing 30.1%, measures related to shyness and measures of anger 23.7%, how to self-monitor 7.1%, measuring self-actualization 1.5%, and they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and how territorial is your family were not significant. Accordingly, the behavioral factors only represented the juveniles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hey were found out to be acting as the effective force. Also, except for some behavioral 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force affect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s a whole. When we see the result of the study as above, we should observe the behavior of the adolescent’s correctly and predict the level of their adjustment. In order for the adolescent’s to adjus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ing diversified, we should counseling and assist them by comprehending their behavioral factor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