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 콘텐츠에 나타난 포스트 휴먼 시대 인간과 인공적 타자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강병호(Byoung-Ho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포스트 휴먼이란 인간 · 기술 · 기계가 융합되는 미래 인간을 의미한다. 미래학자들은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정보통신(ICT), 인공지능(AI), 바이오 기술 발달로 기계와 인간이 융합되어 그 경계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2030년대가 되면 컴퓨터의 지적능력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고, 2040년대 뇌에 지식정보를 이식하는 기술도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로 현재로부터 포스트휴먼 시대로 이행하는 과정을 전망하기 위해 전 이행단계인 산업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기술변화가 야기하는 사회변화를 탐색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는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조론’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연계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변화에 의한 사회구조변화를 설명하는 사회과학적 접근방법을 선행 연구를 통해 탐색 · 분석하고 이를 ‘기술 유토피아’, ‘인간존재 (노동) 진부화’, ‘자본주의 구조적 모순의 연장’으로 분류하였다. 들뢰즈(G. Deleuze)는 “예술은 존재론적 철학의 또 다른 표현방식이며 철학에 생기를 부여하고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이미지로 재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포스트 휴먼 시대 인간과 인공지능과 관계성에 있어 사회과학적 접근방법에 의해 제기된 이슈들이 영상 콘텐츠에서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교차 비교하며 영상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포스트 휴먼시대 인간과 ‘자아의 반영’인 인공지능(인공적 타자)와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공지능의 존재와 역할을 영상으로 표현한 대표적 4개 콘텐츠를 선정, 이를 텍스트로 비교, 분석하였다. 즉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인공지능과 관계성을 이슈별로 교차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류의 또 다른 자아상인 인공지능은 컴퓨팅의 이분법적, 이산적, 기계적 연산을 넘어서 학습, 인식, 인지, 감성, 몸의 순서로 병렬적, 리좀(rhyzome)적 확장을 하며 생득적 자의식과 마음을 가진 존재로 영상 콘텐츠에서 표현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간 주도 학습이 아닌 인공지능 사이 관계 학습도 가능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 의하면 향후 포스트 휴먼 시대 전에 ‘생명’과 ‘생명이 아닌 것’에 대한 논의도 쟁점화 되리라 예상된다. ‘Post human’ means a future human being of existence fusing humankind, technology and machine. Many experts anticipate that the border line dividing human being and machine could be disappeared due to the developments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 technology. A lot researches argue that intelligence of computers will outperform that of human being from 2030s and knowledge up-loading technology onto a human brain would be realized from 2040s. In this paper in order to grasp transition trends from present to ‘post human times’, previous studies were searched and analyzed focusing on transition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These work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echnology determinism’ and ‘social theory’. Linking this previous research works, social science approach predicting the changes of social structure of ‘post human times’ was derived as ‘technology utopia,’ ‘human existence (labor) obsolescence’ and ‘extension of capitalism structural contradiction’ as well. Deleuze argued that “arts is another mean of philosophy, gives vitality onto philosophy and has role figuring out a abstract concept onto definite images.” In this paper issues from social science prediction approach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as andere)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video contents. For this purpose four video contents developed made after 2000s were selected. From this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 self image of human being, from time series of view, functionality of learning, recognition, sentiment, and body have been highlighted with parallel and ‘rhyzome’ in these contents. In addition self-consciousness and m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AI have been realized in video contents, incrementally. Finally self-learning, not by human but by other AI’s were possible in this culture texts. From these results, debates for ‘having a life’ and ‘not having a life’ will be aggrava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생명자본의 관점에 관한 연구

        강병호(Byoung-Ho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2월 아카데미 작품상도 받아 기념비적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격렬하게 뒤틀린 계급격차, 계급의 분노와 같이 계급(class)간 갈등을 주제로 논평한다. 영화 <기생충>은 마르크시즘(Marxism)의 정형화된 계급투쟁 구도보다“악한이 등장하지 않는 비극”, “문화로 체화된 내재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기체화(substrate)된 현대사회의 계급관계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화 <기생충>은 이념 대립이 과잉인 한국사회에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기생충>이란 키워드는 문화 콘텐츠가 아닌 정치권의 논쟁에서 차용된 경향도 발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좌파 선동 영화라 치부하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국가이념인 중국에서는 개봉을 금지시켰다. 반면 이어령은 영화 <기생충>이 이분법적 시각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지 않고 겹 시각(dual view)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장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눈을 잃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생명자본론 (vital capitalism)에 기초한다. 생명자본론은 계급투쟁 갈등에서 역사발전 근인을 찾지 않고 생명이 가진 고유특성 토포필리아(topophilia), 네오필리아(neophilia), 바이오필리아(biophilia)로 역사와 사회를 해석한다. 또한 문명 발전을 홉스 (Hobbes)의 포식주의 단계, 미셀 세르(Michel Serres)의 숙주-기생 단계, 마굴리스(Margulis)의 상호 기생, ‘상생’의 단계로 발전해왔다고 조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영화<기생충>의 내용 중 문화자본에서 주장하는 아비투스(habitus), 기초한 장(fields)의 개념으로 해석된 장면(차별, 취향, 교육, 기생)을 중심으로 생명자본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문화자본론은 콘텐츠 해석에 있어 자기이해의 단일동기로 해석의 다양성과 우연성을 저감할 가능성이 높고 도식화된 해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속론 즉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자본주의의 속성은 연속된다는 주장은 새로운 하부구조(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변화와 이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관계와 개인의 역할을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기생충(parasite)>을 텍스트로 선행연구들이 해석의 기초한 문화자본적 접근방법에 대응하여 생명자본의 해석적 대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는 한국의 극단적 이념 풍토에 대한 대안의 시도라 할 수 있다. The film 〈Parasite〉 won the Golden Palm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and received the Academy Award for a non-English-speaking film in February 2020, respectively. It has received a monumental evaluation in the world film history. Overall, this film is about class conflict, and critics evaluate the theme of the film as “badly twisted class gap” and “anger from class.” The film 〈Parasite〉 expresses an intrinsic conflict embodied in culture as a “tragedy in which no bad person appears,” rather than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the classical class struggle from Marxism. In other words, this can be seen as expressing the substrated class relationship of the modern society that Pierre Bourdieu had argued. This film 〈Parasite〉 has been focused as a controversial target under Korea society with excess of ideology. Politics used to adopt the keyword, ‘parasite’, for political disputes not only in culture contents world. Paradoxically socialism China did not allow to release film ‘Parasite.’ On the other hand, Lee O-Yong argues that the movie “Parasite” does not look at social phenomena through a dichotomous perspective, but is viewed through a “double perspective” and evaluates that it does not lose eyes looking at humans through tension. This view is based upon ‘Vital Capitalism’. Lee. O-Yong looks at the movie “Parasite” from the perspective of “Vital Capitalism”. The theory of Vital Capitalism does not seek to find the root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class struggle conflicts, but rather figuring out history and society pays attention on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life, Topophilia, Neophilia, and Biophilia. Lee Eo-ryeong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ory evolved from the stage of Hobbes" Darwinism or predatism to the stage of host vs. parasite of Michel Serres, and onto the stage of Margulis"s ‘Win-Win (inter-dependence)’. In this paper, after overview of vital capital concept and preceeding research, re-interpretations were tried onto scenes based upon fields from habitus, culture capital. This exploration looks for a alternative for excess of ideology in Kore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