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인성 갑상선호르몬 ( T₃ ) 의 경구투여가 조피블락 ( Sebastes schlegeli ) 치어의 생리적 상태 ,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강덕영(Duck Young Kang),장영진(Young Jin Chang),김윤(Yoon Kim),명정인(Jeong In Myoung)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의 생리,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3, 5.3`-triiodo-L-thyronine (T₃)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₃를 0, 5, 10 및 15 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식률 및 사료효율은 10 PPM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CH는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TCH값을 나타내었다. 실험구별 기형률은 T₃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실험 종료시 체성분 분석 결과, 수분과 회분 함량은 실험구간 유의차를 찾아 볼 수 없었고, 단백질 함량은 15PPM구가 5 PPM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 비해 많았으며, 지질 함량의 경우 15 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5 PPM구와 10 PPM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구별 길이 및 무게 성장은 10 PPM구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실험 종료시 9.80±0.26㎝로 대조구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였다. 실험구별 비만도는 T₃구가 18.9∼19.0으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각 실험구별 사육어의 생존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았고, CONTROL구를 재외하고는 10 PPM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uveniles were fed with the diets containing 0 (control and sham), 5, 10 and 15 ppm of 3,5,3`-triiodo-L-thyronine (T₃) for 50 day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hormone on the change of physiological condi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Fish were fed the commercial diet by hand to satiation 2 times per day. After 50 days, food intake, feed efficiency, thyroid cell height (TCH), abnormality, proximate body composition, growth, condition factor and survival rate were also examined. The food intake and the feed efficiency of S. schlegeli fed with diet containing 10 ppm of T₃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es fed with the other diets. On the final day of experiment, atrophy of thyroid gland was observed in fish administered with 10 and 15 ppm of T₃. T₃ increased slightly the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₃ dose. The whole body proximat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ishes administrated with 15 ppm of T₃ were the highest in protein content and were the lowest in lipid, but in ash content were there a significant effects of T₃. The growth of S. schlegeli fed with a diet containing 10 ppm of T₃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condition factor was not related to administered T₃ content. T₃ slightly improved the survival rate of juvenile S. schlegeli, and the survival rate of fish administered with 10 pp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ham-control but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 KCI등재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 Mugil cephalus ) 와 틸라피아 ( Oreochromis niloticus ) 치어의 아가미 조직과 체성분 변화

        허준욱(Jun Wook Hur),장영진(Young Jin Chang),강덕영(Duck Young Kang),이복규(Bok Kyu Lee)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1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와 틸라피아의 아가미 조직과 전어체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수의 염분조절은 담수로부터 1일만에 33‰의 해수가 되도록 사육수를 교환하였고, 이후 15일 후에 다시 담수로 사육수를 교환하여 15일간 담수로 유지하였다. 전 실험기간중 숭어의 아기미 조직상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염분상승에 따른 조직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해수 2일째에는 아가미 2차새변 (gill lamella)의 모세혈관들이 응혈 (bloodclot)되고 새변이 중첩되는 조직상을 보였다. 염분이 상승함에 따라 숭어의 아가미 염류세포는 개구부 (apical pit)가 뚜렷하였으며,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에는 염류세포 개구부가 거의 닫혀있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담수 보다 해수에서 증가되었다. 숭어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실험개시시 74.0±0.6%, 해수사육 15일째 73.6±0.5%, 담수사육 15일째 74.5±0.3%로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 72.2±0.1%였다가 해수사육 2일째에는 70.2土0.2%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숭어의 전어체 단백질 함량은 실험개시시와 15일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의 지질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 함량은 차이를 나타냈다. Changes of gill tissue and body composition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the manipulation of salinity were observed in a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Salinity was increased from 0‰ to 33‰ for 1 day and remained for 15 days, thereafter salinity was decreased from 33‰ to 0‰ for 1 day and remained for other 15 days. Any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gill lamella in grey mullet were not observed in seawater and freshwater. However, on day 2 in exposure to seawater, Nile tilapia showed the edema and bloodclot in gill lamella. In the case of grey mullet, mitochondria and tubular system of chloride cell were more densely packed according to the salinity increase. The whole body of grey mu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 during experimental period. However, moisture content in whole body of the Nile tilapi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exposed to seawater. Protein content in whole body of grey mu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ginning and day 15 of the experiment.

      • KCI등재

        농어 , Lateolabrax japonicus 의 생식주기

        안철민,강덕영,한형균 한국어류학회 2001 韓國魚類學會誌 Vol.13 No.3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was histologically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aptured on the coast of the Tongyoung, South Korea. The gonadosomatic index(GSI) of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October and reached its maximum in February. The GSI of males reached its maximum in December. The change of GSI and gonadal tissue showed that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four stages: (1) the degenerative and resting stage from March to August, (2) the growth stage from September to November, (3) the mature stage from November to December, and (4) the ripe and spawning stage from December to M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