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트위터 ‘대나무 숲’ 현상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소통 증진의 가능성 탐색

        안재웅(An, Jae Woong),한승철(Han, Sueng Cheol),이상우(Lee, Sang Wo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2

        이 연구에서는 트위터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나무숲 이라는 특이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주목하여, 대나무숲 현상에 대한 원인을 밝혀 보고 대나무숲에서 어떠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상호 작용 과정 분석(Interaction Process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나무숲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는 전반적으로 사회감정형 메시지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적대적 표현이나 긴장감을 유발하는 표현인 부정적 사회감정형 메시지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메시지들의 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하고자 각 메시지 유형별로 리트윗 횟수를 비교해본 결과 과업형 메시지가 사회감정형 메시지에 비해 더 많은 리트윗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대나무숲 현상이 자기소외 시대로 일컬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소통의 장을 열 수 있을지에 대해 탐색적이나마 진단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ased on a peculia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phenomenon, called Bamboo Grove on Twitter, this study investigated causes for the communication phenomenon. This study applied a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to analyze bamboo grov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messages generated at the bamboo grove were observed to be socio-emotional, and the majority of those messages were turned out to be negative socio-emotional messages that would provoke hostility or anxiet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ask-related messages had more retweet hits than socio-emotional messages.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a new type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uch as Bamboo Grove on Twitter, might provide a new communication space in the era of self-alie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