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北宋磁州窑(系)镶嵌工艺的发现、演化及与高丽青瓷镶嵌相互关系之浅探

        趙學鋒(쟈오쉐펑) 국립광주박물관 2019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2

        야자(冶子) 자주요 유적에서 북송의 상감공예 표본이 출토되었고, 산동 관현(冠縣) 노성은 당시 자주요의 집산지로서 상당수의 자주요 상감 기물 및 표본들이 출토되었다.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자주요의 상감기법은 회갈지획화상감(灰褐地劃花鑲嵌)을 거쳐 회갈지각화상감(灰褐地刻花鑲嵌)과 척획화상감(剔劃花鑲嵌) 기법으로 이행하였고, 마지막에는 진주지획화(珍珠地劃花)로 진화되었다. 동시기(遼) 산서 혼원요(渾源窯)에서도 상감공예가 활용된 표본이 출토되었는데, 회갈지각화상감(灰褐地刻花鑲嵌)에서 점차 청자획화상감(靑瓷劃花鑲嵌)과 척획화상감(剔劃花鑲嵌)으로 진화되었다. 고려청자상감은 13세기에 출현하여, 이 역시 획화상감(劃花鑲嵌)와 각화상감(刻花鑲嵌) 및 척화상감(剔花鑲嵌)의 변천 과정을 거쳤다.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은 한국 고대 도자의 최고 업적이지만, 그 출현은 자주요(계) 상감보다 한 세기 반이 늦다. 고려청자와 조선분청 사기의 철화 · 조화박지 등의 기법은 여러 시기에 걸쳐 자주요(계)의 깊은 영향을 받는 뚜렷한 전승관계에 있으며, 이 추론에 따르면 고려청자상감과 자주요(계) 상감공예 역시 전승관계가 존재한다. Ceramic wares with inlaid decoration dated to the Northern Song Dynasty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the Cizhou kilns in Yezhi Village. Moreover, a considerable volume of vessels and shards of inlaid Cizhou ware have been discovered in Lucheng Subdistrict of Shanxi Province, a trading center for Cizhou ware. A comparison among these unearthed wares indicates that the inlay technique used in Cizhou ware began with incising and inlaying decoration on a greyish-brown ground (灰褐地劃花鑲嵌) and evolved into carving and inlaying decoration on a greyish-brown ground (灰褐地刻花鑲嵌) along with sgrafitto decoration (剔劃花鑲嵌). The end phase is characterized by incising on pearl-ground (珍珠地劃花, ring stamping ground). At the Hunyuen kilns in Shanxi Province, samples of Liao Dynasty inlaid wares have also been found. These also show the development of inlay from incised designs on a greyish-brown base, through carving designs on celadon, and to sgrafitto designs. The inlay technique used in Goryeo celadon emerged in the thirteenth century and evolved through incising and inlaying designs, carving and inlaying designs, and sgrafitto designs. Although Goryeo celadon inlay techniqu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markable achievements in ancient Korean ceramics, it appeared a century and a half later than inlay in Cizhou ware. The use of iron underglaze as well as carving and sgraffito in Goryeo celadon and Joseon buncheong ware were greatly influenced by Cizhou ware over several periods. Accordingly, Cizhou inlay is presumed to have been transmitted to Goryeo inlaid celad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