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이후 중국 지역지리 과정(課程)의 변화 고찰

        董玉芝,김석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Regional geography plays an irreplaceable role in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Curriculum in China.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regional geography is also the vane of geography education in China.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curriculum into local chronicle period, embryonic period, imitation period, stagnation period, revitalization period and reform perio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ubject development and content setting of geography curriculum. From the local chronicles period to the embryonic period, “regional geography” was the initial system, and “regional geography” completely replaced the local chronicles. The period from imitation to cessation is the most distinctive political color. Regional geography has been declining from full imitation of the Soviet Union to full scale. After four adjustments of the geographical outline, regional geography formed a revitalization period with junior middle school as the main pattern and senior high school as the supplement pattern. In the 21st century, China’s education has entered the eighth curriculum reform in an all-round way. Compulsory geography education and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have changed from syllabus to curriculum standard, and then into a comprehensive reform period. It has formed a compulsory pattern for both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지역지리는 지리학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지역지리 과정의 발전 변화를 통하여 중국 지리교육의 발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문은 지역지리 과정의 시대적 배경, 학과 발전, 내용 설치 등의 측면에서 지역지리 과정의발전을 지방지, 맹아, 모방, 정체, 발전, 개혁 등의 6개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과정내용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고찰하였다. 지방지시기에서 맹아시기에 이르기까지 “지역지리”는 초보적인 체계를 갖추었으며 “지역지리”는지방지를 대체하였다. 모방시기에서 정체시기까지는 뚜렷한 정치적 색깔이 있어 지역지리 전반에 걸쳐 소련을모방하였으며 크게 위축되었다. 그 후, 4차의 지리대강 조정을 거쳐 지역지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하고 고등학교를 보충으로 하는 진흥시기에 들어섰다. 21세기에 들어서서 중국의 교육은 전반적인 제8차 과정개혁을 걸쳐의무교육 단계의 지리교육과 고등학교 지리교육은 개혁시기에 들어섬으로써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지리는 모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 KCI등재

        한국 · 중국 · 일본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동향 분석

        심광택,董玉芝,金玹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1

        Integrat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were developed in 2018. After examining three curriculums in order of background of development,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the authors clarifi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icular contents and methods aim 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in Geography. Within the curriculum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consist of: 1)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interdependenc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disaster measures; 3)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cultural diversity in a pl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y and natural environment; 4) regional geography based on living space (river basin); 5) reasonable use and management of water and marine resources; 6) rural and urban areas as living space; 7)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living environment; 8) economic activity and movement; and 9) connections and interdependencies among spatial scales. With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consider the following: 1) thematic inquiry and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geographic task solving based on survey of learners’ living space; 3) applying comparisons, relations, and changing perspectives between systematic themes; 4) identifying learners’ thinking structure and presenting expressible task; and 5) inquiry and question strategies according to 5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세계시민성 교육 그리고 지리과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예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체계 및 조직은 1) GIS, GPS, RS를 활용한 지리 환경적 문제 해결, 2)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의존및 지속가능한 관계 설정, 방재 대책, 3) 장소에서의 생활 문화의 다양성을 인문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 4) 생활권(하천 유역권)에 토대한 지역 지리, 5) 수자원과 해양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6) 생활공간으로서 촌락과 도시, 7) 인구와 생활환경 간의 관계, 8) 산업 활동과 이동, 9) 공간 규모 간 연결 및 상호의존 등으로구성한다.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수업자는 1) 지리정보 기술을 활용한 주제 탐구 및 문제 해결, 2) 학습자 생활권 조사에 토대한 지리적 과제 해결, 3) 계통적 주제 간 비교, 관련, 변화의 관점 적용, 4) 학습자의 사고 구조 파악 및 표현성 과제 제시, 5) 지리 교육의 5대 중심 개념에 따른 발문 전략 등을 고려한다.

      • KCI등재

        중국 2022년 개정 「의무교육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내용

        林俞廷,董玉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3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announced the revised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for Compulsory Education (2022 E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key points of the recently updated geography curriculum guidelines for compulsor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key competencies of geography in the compulsory education stage—harmony between humans 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ynthetic thinking, regional perception, and geographic practice—are developed under the fundamental task of moral education of human nature. Second, students are guided to understand the earth, the home of humanity, in the following order: “universe-earth-surface-world-China” through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the compulsory education stage. The content of the geography course,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ographical practice exercises based on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themes and enhances the bond between the course and the course. Third, for the first time, the academic quality standards for compulsory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refl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 and development level of geography’s key competencies. Fourth, the compulsory education stage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deep teaching-learning”, focusing on the provision of individualized feedback for students and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최근 중국 교육부는 2022년 개정 「의무교육 지리과정표준」을 반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 개정된 ‘의무교육 지리과정표준’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덕으로 사람을 교육하는 근본 임무를 수행하고 인지 협조관, 종합적 사고, 지역 인식, 지리 실천력 네 가지 의무교육 단계 지리과 핵심 역량을 제정하였다. 둘째, 의무교육 단계 지리 과정구성 및 내용은 지리적 공간 척도에 기반하여 “우주-지구-지표-세계-중국”의 순서로 학생들을 인도하여 인류의 지구 정원을 인식하게 하였다. 특히 지리 과정내용은 교과 내 및 교과 간 연계를 강화하였으며 간학문적 주제 학습을 비롯하여 지리실천 활동을 중시하였다. 셋째, 처음으로 의무교육 단계 학업의 질적 표준을 제정하였고 지리과 핵심 역량의 발전 수준과 학업 성취 기준을 반영하였다. 넷째, 의무교육 단계의 지리과정은 ‘심층 교수-학습’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의 제공과 과정 중심평가를 중시한다.

      • KCI등재

        Citespace에 기반한 중국 지리 실천력 핵심역량 연구 동향의 계량 서지학적 분석 - CNKI(2016~2022년)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林俞廷 ( YuTing Lin ),董玉芝 ( YuZhi Dong ),崔珊珊 ( ShanShan Cu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4

        In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revised and promulgated the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for High School』, which formulated four key competencies: harmony between humans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synthetic thinking, region perception, and geographic practice. Because geography is a highly practical discipline, it will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gress of the key competencies of geographic practice in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geography education in China. Using Citespace literature data analysis software as a tool,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paper about China’s geographic practice, which i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published in the CNKI (2016~2022) database. The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the cooperative network analysis, research 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have published a large number of academic journals, bu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is weak,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2) In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keywords related to geographic practice with high frequency, which includes key competencies, study tour, high school geography, etc. In the analysis of keyword cluster network, the research mainly focuses on five topics: a) key competencies b)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c) textbooks of People’s Education Press d) study tour e) geography examination. Among the burst keywords, situational teaching, labor education, deep learning and other keywords have recently risen rapidly. Research is active overall, such as related to development research, but not enough research is going on related to empirical side, which is regrettable. In the future, geographic practice will continue to be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key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geography curriculum in China, and I hope it can provide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